오늘은 보청기용 배터리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일반적으로 보청기용 배터리는 Zinc-Air Battery, 즉 아연-공기 배터리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배터리 케이스에도 그렇게 인쇄가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아래의 글을 보면 아주 약간의 (about 3%) 수은(mercury)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전 세계의 배터리 업체가 2011년까지 수은이 전혀없는 배터리 (mercury free battery)를 개발하기로 약속한 것 같습니다.




Ask the Expert

10/13/2008

Mercury Free Versus Zinc Air Batteries
Serge Traylor, Energizer


Question
One of my patients called and asked if we carried mercury free hearing aid batteries. Aren’t all zinc air batteries free of mercury?



Answer
Great question. There is actually a very small percentage – about 3% - of mercury in zinc air batteries. Mercury is a stabilizing element in hearing aid batteries. There has been some legislation out there to remove mercury from hearing aid batteries. So the battery industry came together and decided that by 2011, as an industry, there will no longer be mercury in hearing aid batteries.

Energizer launched the first full line of hearing aid batteries in the U.S. that are mercury free in 2008.

It took a lo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o make that happen. We have been perfecting the zero mercury hearing aid battery for the last decade. In 2001, we launched zero mercury hearing aid batteries in the European market and since then, we have continued to refine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at battery and we now have a battery that we are ready to launch globally. So the Energizer zero mercury batteries achieve essentially the same performance as those with mercury and any difference that will be seen is going to be negligible to the consumer.

Serge Traylor is the Brand Manager, Hearing Aid Battery Division for Energizer.


저도 오늘 처음 알았습니다. 그 동안에 사용되어온 보청기용 배터리에 미량(3%)이나마 수은이 함유되어 있었다는 사실을요. 암튼 특정업체인 에너자이저에서는 지난 2001년부터 무수은 보청기용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다니 반가운 일입니다. 그리고 2011년까지는 전체 보청기 배터리에서는 수은이 추방되어 보다 환경을 생각하는 보청기 배터리로 탈바꿈할 것 같습니다.





소음성 난청을 연구함에 있어서 허용되는 소음의 한계 강도는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최근 미국의 전문관련 기관인 NIOS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와 OSHA의 권장하는 허용 소음 한계강도가 상이한데 이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기로 하겠습니다.




Ask the Expert

9/29/2008

NIOSH and OSHA Permissible Noise Exposure Limits
Rick Neitzel, M.S., CIH


Question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NIOSH recommended noise exposure limit v. OSHA permissible noise exposure limit?



Answer
The U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has a recommended standard for all industri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NIOSH publication 98-126). This standard specifies an 85 dBA Recommended Exposure Limit (REL), and makes specific recommendations on the key elements of an effective hearing conservation program. The NIOSH standard is consistent with the exposure guidelines used by most scientific and regulatory bodies internationally, but NIOSH is not a regulatory agency and thus the standard is not mandated by law. It is designed to represent best scientific practice.

The U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exposure limit is regulatory – this is law and must be complied with. The NIOSH and OSHA limits are the two commonly used in the United States.

The graph below compares these two limits. As you can see, OSHA permits a worker to be exposed to 85 dBA for an allowable time of 16 hours per day. The NIOSH recommended allowable time for 85 dBA is 8 hrs per day. In addition to using a lower exposure limit than OSHA, the NIOSH standard uses a more protective 3 dB exchange rate that results in shorter allowable exposures at high noise levels than those of the OSHA regulation. For example, OSHA permits an exposure to 105 dBA for one hour per day, while NIOSH recommends that such an exposure last less than 5 minutes.

Hearing conservationists may be surprised to learn that neither the OSHA nor NIOSH limit is designed to protect every worker from suffering any NIHL. However, the NIOSH standard is the more health-protective limit of the two. For example, NIOSH estimates that approximately one in four workers exposed at the 90 dBA OSHA PEL eight hours per day over a 40 year working lifetime will suffer a compensable hearing loss from noise, compared to only about one in twelve workers exposed at the 85 dBA NIOSH REL.






Rick Neitzel is a Research Scientist in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UW)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Sciences and a Certified Industrial Hygienist. He is also a Candidate in the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ygiene PhD program at UW. He is President-Elect of the National Hearing Conservation Association, having previously served as Director of Communications and Treasurer, and sits on the Noise Committee of the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quantitative and subjective exposure assessment in industrial and non-occupational settings, as well a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ffective occupational health interventions.


보청기가 최근 소형화되는 추세다보니 고장 빈도가 많이 높아졌습니다. 그래서 보청기에 의한 청능재활과정에서 고장이 발생한 후 수리비로 인한 난청 고객분과 청능사 사이에서 옥신각신하는 경우도 가끔 마주치게 됩니다.

그래서 과연 보청기 수리에 대한 통계가 궁금했습니다.
도대체 평균적으로 보청기를 수리하는 횟수는 얼마나 될까? 얼마마다 수리를 하는 것일가하구요.... 
아래 원문은 미국의 한 보청기 전문가가 투고한 글인데 보청기 수리의 빈도 등에 대해 많은 참고가 될 것입니다.




Ask the Expert

4/6/2001

Hearing Aid Repair Rates
Michael Block, PhD, CCC-A, FAAA


Question

 

What is the frequency of hearing aid repair for new hearing aids manufactured in the USA?

What are the primary sources of hearing aid failure?




Answer
The frequency of repair depends on the style of hearing aid: in general, the smaller the shell the greater the repair frequency.

REPAIR PERCENTAGES*
Full Shell - 13%
Canal - 14%
CIC - 25%


*These percentages denote the ratio of hearing aids built versus hearing aids repaired/adjusted. For example, of all the ITEs built in one month, 13 percent were returned for adjustments/repairs.

New hearing aids are seen in the repair department primarily for response adjustments and fit-related issues. Although we (as an industry) refer to this incident as a ''repair,'' it is actually an integral part of the normal fitting process and import!!antly, does not represent a product defect.

The most common ''true'' repair actions are receiver replacement/cleaning due to cerumen and microphone replacement/cleaning due to skin oils and other debris in the microphone. The next most common repair action is to correct physical wear issues. The main ones are volume controls, battery doors and switches.

On average, ITEs are seen for repair every 12-15 months, ITCs are seen every 9 - 12 months, and CICs are seen every 7-9 months.

BIO:
Michael Block, PhD, CCC-A, F-AAA, is Director of Customer Service and Technical Support for Starkey Laboratories. Dr. Block has been an audiologist for more than 25 years. His extensive history includes research, audiology instructor, clinical service provider, clinical supervisor and academic department chair.



보청기의 수리의 빈도는 형태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납니다. 
고막형(CIC) 보청기의 경우 평균적으로 7-9 개월 마다 수리를 요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네요. 하지만 이는 미국의 경우로서 우리나라 사람과 귀 안의 상황이 다릅니다. 대체로 미국 사람은 물귀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마른 귀지를 가진 우리나라 사람에 비해 보청기의 리시버(receiver)의 고장 빈도는 다소 높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아래 내용은 신생아(newborn infants) 선별검사로 유명한 PEDIATRIX Medical Group 에서 청각검사와 관련 있는 내용을 발췌했습니다.

high risk가 있는 신생아에게 필요한 검사는 수십 가지가 넘습니다만, 그 중에서 청각선별검사에 대한 자료를 원문으로 실었습니다.
아래 내용은 ABR에 관한 내용입니다.
 



Hearing screening

Description
Hearing screening in newborn infants has become a routine test recommended for all infants before discharge from the hospital. Several screening tests are available and all are non-invasive. These include BAER (Brainstem Auditory Evoked Response), ALGO (which also measures BAER), or ABR (Auditory Brainstem Response).

Purpose
Hearing is an important part of a child's development. The earlier a hearing problem can be identified, the earlier it can be addressed to allow optimal development of speech patterns.

Procedure
Hearing screening is done as follows:
  • Depending on which test is being performed, hearing screening is performed by an audiologist, a technician, or the infant's nurse
  • Earphones are placed on the infant and a series of noises at certain levels are used to test hearing in each ear
  • Responses to the noises are measured by measuring brain wave activity. This is done by sticking several probes to the surface of the infant's head, which are hooked to the testing machine
Results are available immediately on completion of the test. Some infants identified early on as having an abnormal screen might have normal hearing on follow-up studies. Conversely, a small number of infants that have normal hearing screens might develop progressive hearing loss later.

Risks
There are no risks associated with hearing screening. 



Hearing Screen Technology

Baby screened for hearing loss Our Newborn Hearing Screen Program uses an audiological screen known as auditory brainstem response screening technology to detect potential hearing loss.

When anyone hears a sound, electrical pulses travel through the brainstem and into the brain. These electrical pulses move at a specific speed and energy level if a person’s auditory system is healthy. With this equipment, we are able to measure the speed and intensity of these pulses to determine if there is potential hearing loss.

Our trained hearing screener places earmuffs over the newborn’s ears that provide soft clicking noises. Small, attached electrodes then measure the speed and intensity of the pulses traveling to the brain.

The hearing screen does not cause the newborn any discomfort. In fact, because this procedure is so sensitive, the newborn must be asleep or in a relaxed state to ensure accuracy.

This screen does not confirm hearing loss, it only points out the potential for hearing loss and indicates the need for diagnostic testing.







  


최근 들어 신생아의 청각선별검사가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지난 2008년 9월 29일 COEX 그랜드 컨퍼런스룸(서울)에서 개최된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 발표 내용을 포스팅 하고자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논문의 연구 목적인 부모 만족도 조사 결과 보다는 연구배경 부분에서 우리 학부모님들이 얻어야할 정보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포스팅에서도 큰 비중을 두었습니다.   

논문 발표
대불대학교 언어치료청각학과 조수진 교수님께서 해주셨습니다.


연구배경

1) 신생아의 난청 유병률은 신생아 1,000명 당 0.9명부터 5.9명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양측 선천성 고도난청의 신생아 1,000명 당 1명 내지 3명에서 발생하는 질환임. 

2) 유소아들의 경우 난청 조기발견을 못하면 수용 및 표현 언어의 발달이 지연되고 이러한 언
    어적 결함으로 인해 학업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학습장애 유발 가능함.


3)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이나 자아개념의 부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직업
    선택의 문제도 발생가능함.  


미국 유소아 청력 연합회(Joint Committee on Infant Hearing, JCIH)
 생후 1개월 이내 : 선별검사.
▶ 생후 3개월 이내 : 확진검사.
 확진 후 1개월 이내 : 보청기를 착용시켜 늦어도 6개월 이내에는 재활치료가 시행토록 함.
 기존의 보청기로 효과를 못보는 12개월 이상의 고심도 환아의 경우 : 인공와우 권고. 


국내도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시법사업' 실시 : 2007. 8. 27부터 전국 16개 시범지역


연구 목적

연구대상 및 방법



논의 및 결론



1) 청각계통의 발달은 3세까지 80% 이상 완성됨.
    이 시기에 소리자극이 제대로 청각신경에 전달되지 못한다면
        대뇌의 청각-언어 중추영역이 역활을 제대로 못함.
    → 말-언어 장애 발생함.

2) 조기에 난청을 발견하고 중재하는데 결정적인 역활을 담당하는 청각선별검사의 중요성은
    매우
높아지고 있음.


<김형재의 청능치료 로그 :
스타키보청기 분당-용인 난청, www.StarkeyN.com>


정말 좋은 자료가 있어 소개드립니다. 자료의 출처는 국립특수교육원의 공개 연구보고서로서 인공와우 수술을 앞둔 학부모님이나 또 인공와우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학업에 임하는 학생을 둔 학부모님께도 아주 유용한 자료라고 생각이 됩니다. 

민병란 선생님(인천성동학교)을 비롯한 양한석 선생님(서울농학교), 기유정 선생님(인천성동학교), 이윤혜 선생님(인천성동학교께서 하셨습니다.





제목 : 인공와우아동을 위한 교사용 지침서 개발 연구
발행연도 : 2007
연구내용
- 인공와우의 구조 및 원리
- 인공와우아동의 발달과 교육
- 인공와우아동의 학교생활을 돕는 교사 지침 실제


<김형재의 청능치료 로그 :
스타키보청기 분당-용인 난청, www.StarkeyN.com>


위 그림은 귀 질환 관련 서적을 보다가 찍은 사진입니다.

그림의 설명문대로 고막(tympanic membrane)의 천공(perforation)의 위치에 따른 청력 손실의 정도를 연구한 결과입니다.
고막 천공의 위치에 따라서 10~30dB의 청력 손실을 보이는 것으로 연구되어졌습니다.

사실 개인적으로 만성중이염으로 인한 고막 천공환자의 청능평가를 하면 왜 청력이 다양하게 나타나는지 의문이었습니다만, 이 한장의 그림으로 인해 그 의문점이 해소되었습니다. 

청각학을 연구하시는 우리 국내 교수님, 연구진들께서도 좀 더 연구를 해주시어 이왕이면 결과론적인 청력감소 데이타에서 한발 나아가 천공의 위치에 따른 주파수별 특성도 연구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김형재의 청능치료 로그 :
스타키보청기 분당-용인 난청, www.StarkeyN.com>




두개골 깊은 곳에 위치한 내이는 반규관, 와우 그리고 청신경과 같이 3가지 중요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반규관은
3개의 루프 모양을 하고 있고 액체가 가득 찬 공간이 있어서 우리에게 평형 감각을 유지하게 줍니다.

이런 통로들은 와우라고 알려진 달팽이관 모양의 기관으로 확장이 됩니다. 이곳이 바로 중이로 부터 전해진 기계 진동이 뇌가 신호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곳입니다.


와우는 림프액과 유모 세포라고 불려지는 수천개의 작은 신경 섬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등골이 난원창을 자극해서 움직일 난원창은 와우 림프액을 이동시켜서 유모 세포를 움직이게 합니다.


<김형재의 청능치료 로그 :
스타키보청기 분당-용인 난청, www.StarkeyN.com>


중이는 외이도로부터 전달된 소리 에너지를 내이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효과적으로 공기를 균등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이관은 공기로 가득 있으며 그로 인해 공기 압력은 고막의 안과 밖이 동일할 있는 것입니다.


중이는 고막의 움직임을 통해 중이에 도달한 소리 에너지를 내이로 전파하면서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중이 내에는 침골, 추골, 등골이 있는데 이는 인체에서 가장 작은 뼈로 이소골이라 합니다. 침골, 추골, 등골로 알려진 이소골은 내이의 관문이라 있는 난원창에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김형재의 청능치료 로그 :
스타키보청기 분당-용인 난청, www.StarkeyN.com>

 


외이 중에서 가장 보이는 부분을 이개라 합니다. 이개는 피부와 연골이 독특한 모양을 이루고 있어서 실제로는 소리 감지력이 매우 탁월한 기관이고 또한 음파를 집음해서 외이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손을
바깥쪽에 갖다 대었을 이개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있습니다. 손으로 인해 많은 소리가 모아 질 수 있기 때문에 소리가 커지면서 명확해 있습니다. 

이개를 통해 집음된 신호들은 외이도를 통해 뇌로 전달 됩니다.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외이도의 음압과 공명효과로 인해 소리의 에너지가 강해질 있습니다. 


귀지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면서, 외이도는 외부에서 들어 잔해물들이 고막이나 중이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김형재의 청능치료 로그 : 스타키보청기 분당-용인 난청, www.StarkeyN.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