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뇌는 경험을 통해서 신경경로의 개조와 재조직이 일어나는데 이를 뇌 가소성(neuroplasticity) 또는 신경 가소성이라고 합니다. 뇌 가소성은 어린 시절부터 노년기까지 계속되기 때문에 뇌는 끊임없이 발달합니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진은 엄마의 소리를 통한 청각자극이 청각 뇌 발달(auditory brain development)에 영향을 주는지 연구했습니다. 임신 25~32주 사이에 태어난 조산아 21명에게는 매일 3시간 씩 엄마의 목소리와 심장박동소리를 들려주었고, 나머지 19명은 병원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소리를 들려주었습니다.

실험 결과, 일반적인 소리보다 엄마 목소리와 심장박동 소리를 들은 조산아의 측두엽 청각피질(auditory cortex)이 더 커졌습니다. 청각 피질은 자궁으로 들은 경험이 있는 엄마의 소리에 더 적응하여 발달한다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뇌 가소성은 청각경로가 미성숙한 신생아의 뇌 발달뿐 아니라 노년기에 난청으로 인해 퇴행된 신경기능도 보상해줍니다. 따라서 노인성 난청인(presbycusis)도 지속적인 청각 및 언어자극을 통해 신경경로를 재조직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뇌가소성은 나이가 들어서도 지속되나 그 속도가 점차 느려집니다. 따라서 난청이 의심된 즉시 청력측정을 통하여 보청기를 착용해야 합니다. 어음변별력이 낮아진 경우에는 조기에 재활을 시작하여 뇌 가소성을 통해 어음변별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스타키보청기 분당·용인난청센터에서는 노인성 난청 맞춤형 6가지 청력평가와 소리조절(fitting)로 노인의 뇌가소성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사람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청각기관의 노화가 서서히 진행됩니다. 특히 중추청각기관 노화로 인해 청각 정보처리 속도가 느려지면서 청력에 비해 말소리 변별, 확인, 이해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최근 평균 수명의 증가와 삶의 질 향상으로 노인들도 합창단, 노래교실과 같은 다양한 음악활동에 참여합니다. 이러한 음악활동이 중추청각 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

 

캐나다 토론토 Baycrest’s Rotman 연구소는 10대에서 90대까지 적어도 6년 이상 음악 훈련을 받았으며, 지금까지도 훈련을 받고 있는 집단(A집단, 음악가 집단)과 음악 훈련을 받은 적이 없는 집단(B집단, 비음악가 집단)으로 나눠 순음청각검사와 3종류의 중추청각검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검사 결과, 순음청각검사에서는 두 집단 모두 연령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중추청각검사(gap detection, mistuned harmonic detection, speech-in-noise)는 모두 음악가 집단이 비음악가 집단보다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집단 간 검사 결과 차이가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70대 음악가 집단은 소음속 어음이해력(speech-in-noise)50대 비음악가 집단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이는 꾸준한 음악활동이 중추청각기관의 노화를 늦출 수 있으며, 특히 연령이 증가할수록 음악활동 여부가 중추청각기관 기능에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토론토 Ryerson universitySMART Lab.(Science of Music, Auditory Research and Technology Laboratory)은 음악 훈련을 받은 적 없는 50대 이상 경도난청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음악활동(음악훈련, 합창단 연습 등)을 시키고 소리에 대한 반응의 변화를 측정하였습니다. 그 결과 음악훈련은 인지능력(집중력), 소음 속 어음 이해, 음고 변별, 소리에 대한 신경반응(neural response)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음악활동은 어렵지 않습니다. 본인이 좋아하는 음악을 꾸준히 듣고 따라 부르거나, 악기 연주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쉽고 간단하지만 중추청각기능 노화 방지와 좌우뇌 균형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키워드(keyword)
개방형(RIC), 초소형고막형(IIC), 폐쇄효과(occlusion effect), 울림

초소형고막형 보청기 특징
초소형고막형 보청기는 IIC(invisible in the canal) 보청기라고도 합니다.
외이도 깊이 삽입되어 외부에 거의 노출이 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귓속형 보청기에 비해 외이도 골부에 닿는 면적이 많아 폐쇄효과(울림)를 줄일 수 있습니다.

개방형 보청기 특징
개방형 보청기는 RIC(receiver in the canal) 보청기라고도 불립니다.
마이크, 앰프는 귀에 거는 본체에 있지만 리시버(스피커)가 외이도 안으로 들어가는 형태입니다.
초소형고막형 보청기에 비해 외부 노출이 큽니다.
리시버의 돔(dome) 구멍으로 외이도가 꽉 막히지 않아 폐쇄효과(울림)가 감소하게 됩니다

폐쇄효과 vs. 보청기 추천
활동성이 높고, 비교적 젊은 층의 난청인과 같이
미용 측면을 고려하는 경우 초소형고막형 보청기가 상대적으로 유리합니다.
가벼운 폐쇄효과(울림)는 환기구(vent)로서 조절이 가능합니다.
폐쇄효과(울림)에 아주 민감한 경우 또는 고음급추형 난청인 및 고출력이 필요한 고심도 난청인에게 상대적으로 출력이 큰 개방형 보청기를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전문청능사(audiologist) 김형재입니다.

오늘은 청각학과 관련된 생활 속의 청각법학(Legal Audiology)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보청기(補聽器)는 전자의료기기로서 대표적인 청능재활 도구입니다.

의료기기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한 규정(보건복지부 고시 제2010-91, 고시일자 2010.12.21)에 의하면 보청기는 골도형보청기, 기도형보청기, 구화훈련용보청기, 촉각형보청기, 반이식형보청기, 이식형보청기, 인공중이와 같이 7가지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반이식형보청기, 이식형보청기, 인공중이는 측두골 절개에 의한 수술이 선행되어야하는 침습형 보청기입니다. 반면 기도형보청기 등은 시중에서 흔히 마주하게 되는 자유롭게 탈착이 가능한 비침습형 보청기를 지칭합니다. 참고로 침습은 원 상태로 돌아갈 수 없는 비가역상태를 말하며, 비침습은 언제든 원상태로 복원이 가능한 가역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런데 극소수의 일부 의료기관(醫療機關)에서 기도형보청기가 의료행위에 수반되는 치료재료(治療材料)’로 환자에게 상담 및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과연 기도형보청기는 치료재료(治療材料)일까요?

기도형보청기가 치료재료(治療材料)인지 보조기구(補助器具)인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 <국민건강보험법><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을 살펴보겠습니다.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26조 및 별표7에 보험급여 대상 보장구 유형(의지, 보조기, 휠체어, 보청기 등)이 명시되어 있으며, 또한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4에 법 제51조에 따라 장애인에게 보험급여를 실시하는 보장구를 제외한 보조기, 보청기,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 등 보장구는 비급여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보청기 중 보험급여의 적용을 받게 될 수술과 관련된 치료재료인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보청기는 제외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반이식형보청기, 이식형보청기, 인공중이를 제외한 수술(=의료행위)이 수반되지 않는 일반적인 (비이식형)보청기는 치료재료(治療材料)가 아닙니다.

또한 <건강보험법 시행규칙> (비이식형)보청기는 청각장애에 대한 청력 개선을 위한 보조기구(補助器具)’로 정의하고 있는 바, 보청기를 치료재료로 취급하는 의료기관은 청각장애인에게 보청기에 의해 난청이 개선이 아니라 치료가 된다.’는 인식을 심어 줄 수 있어 이에 대한 법률적 개념을 확고히 해야 하겠습니다.




1. 동일 청력의 성인과 아동, 소리를 똑같이 들을까?

사람마다 외이도의 용적과 모양은 다릅니다. 대체적으로 아동은 성인에 비해 외이도 용적이 작아 외부의 똑같은 소리도 더 크게 들을 수 있습니다.

또한 청력이 똑같은 아동과 성인에게 동일한 조건으로 적합(fitting)한 보청기를 아동과 성인에게 착용시키면 유소아가 더 크게 들을 수 있습니다. 이는 성인보다 아동의 보청기 착용 후 외이도 잔여 용적이 작기 때문입니다.

 

2. 실이측정(real ear measurement, REM)의 개념과 의의

외부 스피커에서 발생한 소리를 외이도 내 probe microphone주파수별 음압(ear canal sound pressure)을 측정하는 것을 실이측(real ear measurement)이라고 합니다.

실이측정(real ear measurement)은 외이도(外耳道) 음압특성에 따른 개별화된 보청기 조절(individualized hearing aid fitting)을 가능하게 합니다.

 

3. 당 센터 보유 실이측정(real ear measurement, REM)장비

당 센터 보유 실이측정 장비로 북미/유럽 보청기 분석 및 실이측정이 가능하여 보청기에 의한 최적화된 청능재활(auditory rehabilitation)을 실현합니다.

1) FONIX 7000 Frye Electronics (USA)
2) Affinity 2.0 Interacoustics (Denmark)




심오한 청각학 이야기(Profound Audiology Talk)’, 심청이진행자 김형재입니다.


파워포인트 강의 화면을 슬라이드보기 모드에서 모니터 화면 녹화방식을 채용한 새로운 강의 포맷이 적용된 첫 강의입니다.


네이버 TV캐스트(http://tvcast.naver.com)나 유튜브(www.youtube.com)에서 본 강좌를 시청하시려면 강의코드 심청이R001’를 입력하시면 다시보기가 가능합니다.

 

앞으로 많은 사랑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https://youtu.be/4wBttaa4Gck

 

클라리넷 연주 5년차인 2015523일에 아마추어 클라리네티스로서 쉐마윈드오케스트라(Shema Wind Orchestra)에 가입하였습니다.

그리고 약 1년의 시간에 다다른 지난 430일 아트센터에서의 첫 무대에 섰습니다. 본격적인 준비는 올해 1월부터였으니 만 4개월간의 연습시간을 가진 셈이지만 곡의 높은 수준에는 많은 부족함을 실감한 아주 값있는 시간이었습니다. , 향후 클라리넷 연주에 더 강한 도전의식을 심어준 계기가 되었습니다.

 

429일 분당윈드오케스트라에서 가진 최종 리허설 장면과 430일 강동아트센터 한강홀 공연을 둘러싼 무대를 뒤늦게 스케치 해보았습니다.

 

 

 

 

 

 

 

 

 

 

 

 

 

 

 

 

 

 

 

 

 

 

 

스타키 보청기의 오픈형(개방형) 보청기 RICZon, Xino, Xino Classic, Halo, Wi Series 보청기의 리시버 케이블에 장착되는 이어돔과 귀걸이형 보청기 BTE3 Series 보청기의 이어팁 비교를 주제로 포스팅 합니다.

 

 

 

 

 

 

 

 

 

 

 

 

 

 

 

 

키워드 (keywords)

오픈형보청기(RIC), 귀걸이보청기(BTE), 리시버 케이블, 이득(gain):40, 오픈형이어돔, 폐쇄형이어팁

 

 

오픈형 리시버 케이블 박스

리시버 케이블 박스에 이득과 치수가 표시됨

 

오픈형 리시버 케이블

리시버 케이블 길이는 약 3.5cm

 

오픈형 리시버 출구

리시버 출구는 귀지 방지망(wax guard) 장착

 

오픈형 리시버 이어돔

이어돔이 리시버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

 

폐쇄형 이어팁

이어팁이 이어튜브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

이어팁은 성인용과 유아용이 있음

 

오픈형 리시버 : 치수 표시

리시버 케이블의 숫자는 치수 의미함

 

오픈형 리시버 : 이득 표시

리시버 케이블의 40(데시벨)은 이득(gain) 의미함

 

오픈형 리시버 : 본체 연결부

리시버 케이블의 보청기 본체 장착부

 

본체 연결부 단자

리시버 케이블의 보청기 본체 접점 단자

 

리시버 케이블 테일

케이블 테일은 착용자 귀 모양에 따라 조정함

 

 

 

 

 

키워드(keywords) 

임피던스(객관적 청력검사), 음장(sound field), 청능재활문제점(보청기실패), 보청기처방(고려사항), 보청기 착용효과, 보청기구입처선택

 

Q 1. 임피던스 청력검사의 해석

Q 2. 음장 청력검사의 해석 (FF=29(우측), 38(좌측) 의미?)

Q 3. 청능재활시 4가지 예상 문제점 (= 보청기 실패 요인)

Q 4. 노인보청기 처방시 고려사항Q 5. 보청기 착용효과 4가지 평가 (수행능력 평가)

Q 6. 보청기 맞춤과정 중 주의사항 (보청기 구입처 선택요령)

 

 

 

 

 

 

 

 

 

 

 

 

 

 

 

 

"청각장애 4급입니다.

공무원시험 장애구분 직렬이 나지 않아 일반으로 응시합니다.

일반이든 장애든 나중에 신체검사 시에 장애인으로 등록돼 있으면 교정청력? 상관없나요?

청각장애인인데 40데시벨 이하여야 한다는 건 공무원 하지말라는 소리 아닌가요..."

(출처 : 김형재의 청능재활 블로그 방명록 2015325일)

 

에 대한 답변을 관련 법규 장애인복지법공무원 채용 신체검사 규정을 근거로 이해하기 쉽도록 영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중요한 사항은 청력장애 정도평가는 6분법으로 하는데 평균치는 6분법에 의하여 계산합니다 (a+2b+2c+d/6). (500Hz (a), 1000Hz (b), 2000Hz (c), 4000Hz (d))

6분법 계산에서 소수점 이하는 버린다는 점이 아주 중요합니다.

 

영상에 사용된 자료화면은 아래를 참조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