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능치료를 과정에서 보청기 선정을 위한 고객 상담을 하다보면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의 하나가 "보청기! 국산은 없어요?" 입니다.

신문 지상이나 라디오에서 오래전 부터 많은 광고를 접하시다보니 국산 보청기가 있지 않을까하는 인식을 하신 것 같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국내 기술로 개발된 국산 보청기는 없습니다. 
핵심부품을 수입하여 조립하여 만든 '국산 보청기'는 존재합니다만.....

이번 기회에 국내에 진출해있는 보청기회사의 보청기 업체(maker)별 수입국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막상 정리해보니 우리 나라에 진출해있는 수입 차종만큼이나 다양한 제품군이 있는 것 같습니다.  다만, 업체별 특성은 평가하진 않겠습니다. 감히 제가 그 정도의 평가능력이나 평가기준도 없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난청고객)의 선택권을 침해하는 것 같아서입니다.

그리고 이런 질문에 답하는 것 만큼이나 어려울 것 같습니다.
"벤츠가 좋은 차입니까? BMW가 좋은 차입니까?"  ^^

다만 기회가 되면 '좋은 보청기'를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써 보겠습니다.


1. 스타키보청기

수입원 : 스타키(Starkey), 미국

2. 대한보청기
수입원 : 와이덱스(Widex), 덴마크

3. 지멘스보청기
수입원 : 지멘스(Siemens), 독일

4. 복음보청기
수입원 : 포낙(Phonak)사, 스위스

5. 유니트론보청기
수입원 : 유니트론(Unitron), 캐나다

6. 벨톤보청기
수입원 : 벨톤(Beltone)사, 미국

7.우리난청센터
수입원 : 오티콘(Oticon)사, 덴마크

8. 조은소리보청기
수입원 : 랙스톤(Rextone), 독일


<김형재의 청능치료 블로그 : 스타키보청기 분당-용인 난청센터, www.StarkeyN.com>




일자: 2008년 9월 29일(월) 09:00 - 17:00

장소: 서울 COEX Grand Conference Room 401

주제:
청능재활과 보청기 기술 발전동향

주최: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주관: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청각학과 & 청각언어연구소
후원: 한국보청기협회
협찬: 우리난청센터, 스타키코리아, 벨톤히어링코리아, 한국와이덱스


09:00-10:00  등록
10:00-10:20  개회식(개회사,축사,찬조사)
10:20-10:50  특강1(주제:청능재활)
10:50-11:35  사례발표
11:35- 12:30  연구논문발표 1
12:30-14:00  점심식사 및 포스터 발표
14:00-14:45  특강2(Trends in recent hearing aid technology)
14:45-15:30  연구논문발표 2
15:30-16:00  coffee break & 포스터 발표
16:00-17:00  제조사 특강 or panel discussion(주제 : open fitting)
17:00-         폐회식

* 행사프로그램은 당일 발표자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연자 : 이정학 원장님
시간 : 09:30-10:10
제목 : 청능치료 개요 및 관련 법규
내용 :
- 자격기본법 (시행령)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 교육법 (시행령)|
- 청능사 자격검정 관리 및 운영 규정
- 기타 청각장애 관련 법규 

 

연자 : 이재희 교수님
시간 : 10:20-11:50
제목 : 청각장애 영유아의 특성 및 청능치료
내용 :
- 청능치료의 개념
- 6세 미만 영유아 연령별 청능평가 방법
- 해외의 영유아 청력평가 비디오 자료
- 영유아 아동의 청능훈련 방법 등




연자 : 장현숙 교수님
시간 : 12:00-13:30
제목 : 청각장애 학령기아동의 특성 및 청능치료 내용 :
- 학령기 아동(6~17세) 난청의 특징
- 미국의 청각관련 지원서비스 현황
- 교육현장에서의 청능치료지원 서비스 모델
- 청능 및 어음지각의 위계적 발달 단계



연자 : 서영란 교수님
시간 : 14:45-16:15
제목 : 청각장애 일반인의 특성 및 청능치료
내용 :

- 일반인(18세~64세)의 난청자의 특징
- 청능치료의 최근 동향
- 청능치료 사례 비디오 시청
- 유럽의 농교육의 역사적 배경




연자 : 김진숙 교수님
시간 : 16:30-18:00
제목 : 청각장애 노인의 특성 및 청능치료
내용 : 

- 노인(65세 이상)의 대표적 질환
- 노인성 난청의 종류와 특성 
- 노인성 난청의 청력 특성
- 노인 청각재활 사례 비디오 시청



청능사자격검정원 주관으로 청능사보수교육이 2008년 9월 21일 서울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1관 한림홀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청능사자격검정원 이정학 원장님의 강의를 통해서 '관련 법규를 충분히 숙지해야 청능사로서의 업무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는 마무리 강론을 필두로 갓 태어난 신생아부터 65세 이상의 노인에 이르기까지 연령별로 난청환자에 대한 디지털 보청기 및 인공와우에 의한 청능치료에 대한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김진숙 교수님의 업무상 청각장애 노인에 대한 청능치료에 가장 관심이 많이 갔으며, 장현숙 교수님의 '학령기 아동의 청능재활에서 경도난청의 기준이 성인과 학생에 있어서 적용이 달라야 한다' 라는 이론은 선청성 난청 아동에 대한 우리나라 교육전문가들이 새롭게 받아 들여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이 되었기에 아주 인상에 남았습니다.

이번 청능사 필수 보수교육에서 배웠던 내용들은 교재연구 및 관련 도서 탐독으로 내용을 보강하여 본 블로그에서 지속적으로 연재하겠습니다. 



 <김형재의 청능치료 블로그 : 스타키보청기 분당-용인 난청센터, www.StarkeyN.com>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고자하는 각종 사인입니다. ^^


01234



To sum it up: Robin's hearing is good. And the fact that it continues to be good, now, 5 months after the first ALGO test, makes it again less likely that it will go bad later. Not impossible, but less likely.

All in all, the day was exhausting. It started of good, with awesome weather for the 3rd day in a row. Our appointment was at 1pm, so I even went for a jog in the park, while Patty fixed us some nice smoked salmon & cream cheese bagels.

The trick however, was to make sure Robin didn't sleep until the test. The BERA test, which measures brain activity while acoustic pulses are sent to the ear, requires a deep sleep. Otherwise the pads pick up interference from other parts of her brain. So, I am now officially the bad guy. Robin wanted to go to sleep badly around 11:30, so I started to shake her, sing to her loudly, and eventually poked her in the ribs every now and then. All for the greater good, but still...

Luckily our efforts paid off, but I must say, the last 30 min. were among the longest in my life ;) The test went very well, but still took approx. 90 minutes. With very well, I mean, Robin slept sound through the whole ordeal. The test itself is all gibberish to the untrained eye, and even the audiologist needs to look at all sorts of reference material before any result can be shared.

After that came the OAE test, which is much simpler, with immediate results, and is very similar to what all babies in Holland get within the first 4 days of their life (an hearing test is taken together with the blood sample for the Guthrie card / hieleprik). We saw immediately that the little dots on the screen did not fit within the reference lines. That sent our anxiety through the roof. While BERA measures electronic signals produced by the brain in response to noises, the OAE only tests the middle and inner ear (so not the nerves and brainstem). The OAE showed hearing loss of approx. 30dB and 40dB on the left and right side respectively. But, the audiologist said afterwards that it is all due to fluid in Robin' s middle ear, like so many babies and infants have. Nothing uncommon, just something that impairs her hearing and thus affects the test.

After a 15 min. wait, the results from the BERA test confirmed the findings from the OAE: hearing is good, only impaired by fluid in her ear.

Sigh.

We got a referral to a KNO (Throat/Ear/Nose) doctor, which is standard practice. He or she will determine if action should be taken to get rid of the fluid. Similar to Feline before her surgery, Robin's hearing is now comparable to listening while under water. In the long run, this is not good of course. But often, the fluid will disappear when she grows older. She is yet too tiny/young anyway for tubes.

In the end, we made it to the teras around 5:30pm and toasted to our brave, beautiful, amazing, kick-ass baby girl with a nice cold beer.

Thank you as always for your thoughts wishes and prayers. Another test down, who-knows-how-many to go ;) 

수술부위를 제외한 모든 부분은 소독된 천으로 가립니다.

그리고 수술의사는 현미경을 사용하여 수술을 합니다.

그리고 모든 수술은 모니터를 통해 볼 수 있으며, 또한 저장이 됩니다.



어음처리기를 쌀수 있는 주머니를 만들어 목걸이 형태로 하여 목에 걸어 옷속에 넣거나 허리에 찰 수 있도록 합니다.

<김형재의 청능치료 블로그 : 스타키보청기 분당-용인 난청센터, www.StarkeyN.com>

Here you can see that he is wearing a coil (brown) on his head; it is kept in place using a magnet that attracts to the metal on the implanted device just under his skin. Behind his ear (blue) sits the microphones and speech processor which changes sounds into digital impulses which are then transmitted into his cochlea and auditory nerve. 
[번역]
머리에 코일 모양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보이시죠?
아이의 머리 피부 하단에 이식되어 있는 금속 부속품에 자석으로 붙어있습니다.
그리고 귀바퀴 뒤에 옅은 청색의 장치에 마이크와 입력음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어음처리기가 있습니다. 변환된 어음처리기는 달팽이관을 거쳐 청신경으로 전달됩니다.

 <김형재의 청능치료 블로그 : 스타키보청기 분당-용인 난청센터, www.StarkeyN.com>
Right Coronal Cochlea CISS Recon images of the cochlea
My brain from test images on Siemens 1.5 Tesla Avanto Scanner 
상기 영상자료 가운데에 달팽이관이 보이시나요?


인공와우 수술 전 검사중의 빠질 수 없는 것이 영상검사(imaging study)입니다.
영상검사는 인공와우 이식기가 위치할 두개골과 유양동의 상태를 파악하고, 특히 와우강내의 전극이 삽입 될 공간과 와우신경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아주 중요합니다. 
각종 검사항목과 그 목적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측두골 고행상도 전산화 단층촬영
   (Temporal Bone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TB-HRCT) 

내이 구조의 기형 확인, 안면신경의 구조 확인, 유양동의 구조 확인.
뇌수막염 후 동반되는 와우강 내 골화(cochlear ossification) 여부 확인.
☞ 인공와우 수술의 난이도와 수술시 예상되는 문제점 예측 



2.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2 강조 MRI 영상에서 와우강 내이 임파액 공간을 확보하므로 와우골화(cochlear ossification) 뿐만 아니라 CT에서 확일 할 수 없는 섬유화로 인한 와우강 폐쇄여부 확인.
내이도 내에서 주행하는 와우신경의 존재여부 확인.


3. T2-weighted CISS(Constructive Interference in Steady State) parasagittal 영상

내이도 내의 수직인 단면 영상을 제공하므로 내이도 내부를 주행하는 4개의 신경을 좀 더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음. (Casselman et al., 1997)

 



아래 그림은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받은 ROB.WARD님이 올리신 청력도(audiolgram)입니다.
그리고 결과에 대한 ROB.WARD님의 설명과
Silverghostdog님의 리플로 인공와우 이식수술의 효과에 대해 가늠해 볼 수 있겠습니다.
보청기를 사용하였을 때 평균 청력도(PTA, 3분법)는 45dB HL이었고, 인공와우 이식수술 이후의 평균 청력도(PTA, 3분법)은 약 25dB HL로 나타났습니다.




Audiogram, 1 week after CI activation

The green line is the level at which I was hearing with the CI one week after it was first activated. The red line is what I heard with the hearing aid.

The threshold for normal hearing is between 0 and 20dB (the blue area on the audiogram). The grey shaded area is the range of sounds for normal speech. 

인공와우 이식 후 1주일 후의 청력도
초록색 선은 인공와우 이식 후의 첫 1주일 후의 청력도를 나타내고, 빨간색 선은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청력도를 나타냅니다.

청력도 상에서 청색영역인 0~20dB HL은 정상 청력 범위를 나타내고, 회색 그림자영역은 정상적인 어음의 역치 범위를 나타냅니다.



view profile

Silver****  님의 덧글:

That's amazing, you must be thrilled with the result. How have things progressed, what is speech perception like now???

놀랍습니다. 결과에 짜릿했을 것 같습니다. 어음이해도는 어떤지요?

 

view profile

rob**** 님의 덧글:

My speech comprehension is much better than it was before and is continuing to improve. The difference is night and day. It's still not normal hearing, but I'm a lot closer than before. So, yes, I'm super pleased with the result! 

저의 이음이해도는 전에 비해서 훨씬 좋아졌습니다. 그리고 계속 좋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은 정상청력은 아니지만 전보다는 훨씬 정상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저는 결과에 대단히 만족하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