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급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                                        
                               
제6급                                                                       
두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고 다른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


 제7급                                                                       
1) 두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
2)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

       
제9급
1) 두 귀의 청력이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
2)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기 어려운 사람
3) 한 귀의 청력을 모두 잃은 사람      
                                 
                               
제10급                                                                       
1) 두 귀의 청력이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기 어려운 사람 
2)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  
            

제11급
1) 두 귀의 청력이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
2)  한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  

               
제12급                                                                     
1) 한 귀의 청력이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      
2)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된 사람

제4급                                                                      
고막의 전부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

제6급
   
1) 고막의 대부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이 모두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알아 듣지 못하게 된 사람
2)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 듣지 못하게 된 사람

제7급
 
1) 두 귀의 청력이 모두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 듣지 못하게 된 사람
2)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 듣지 못하게 된 사람

       
4급 [한도금액 : 5,600만원~7,000만원]
고막의 전부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  

6급 [한도금액 : 4,000만원~5,000만원]

1) 고막의 대부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이 모두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2)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7급 [한도금액 : 3,200만원~4,000만원]
1) 두 귀의 청력이 모두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2) 한 귀가 전혀 들리지 아니하게 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 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9급 [한도금액 : 1,800만원~2,250만원]

1)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2) 한 귀의 청력이 귓바퀴에 대고 말하지 아니하고는 큰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고 다른 귀의 청력이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3)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

11급 [한도금액 : 1,200만원~1,500만원]
1) 한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2) 두 귀의 청력이 모두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은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12급 [한도금액 : 1,000만원~1,250만원]
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된 사람  

14급 [한도금액 : 500만원~630만원]

한 귀의 청력이 1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게 된 사람
   


         
             
4급 (노동력상실률 90%)
고막의 전부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을 전혀 상실한 자

6급 (노동력상실률 70%)
고막의 대부분이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두 귀의 청력이 이각에 접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해득하지 못하는 자

7급 (노동력상실률 60%)

고막의 중등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두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 말소리를 해득하지 못하는 자    

9급 (노동력상실률 40%)
고막의 전부가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한 귀의 청력을 전혀 상실한 자

10급 (노동력상실률 30%)
고막의 대부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한 귀의 청력이 이각에 접하지 아니하고서는 큰 말소리를 해득하지 못하는 자

11급 (노동력상실률 20%)
고막의 중등도의 결손이나 그 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한 귀의  청력이 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 말소리를 해득하지 못하는 자

12급 (노동력상실률 15%)
 한 귀의 이각의 대부분이 결손된 자

주)  각 등급의 신체장해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장해는 그 노동력상실률에 따라 당해 등급의 신체장해로 본다.     
             

 

  
              5. 소음성 난청                                                       
                  가. 인정기준                                                       
                   근로자가 연속음으로 85데시벨[dB(A)] 이상의 소음에 노출되는        
                작업장에서 3년 이상 종사하고 있거나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        
                고, 한 귀의 청력손실이 40데시벨 이상이 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증상이나 소견이 있는 경우에는 그 근로자의 증상이 다음의 요건         
                모두를 충족하면 업무상 질병으로 본다.                                
                    1) 고막 또는 중이에 뚜렷한 병변이 없을 것                        
                    2) 순음청력검사결과 기도청력역치(氣導聽力·値)와 골도청력역      
                치(骨導聽力·値)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어야 하며, 청력장해          
                가 저음역보다 고음역에서 클 것                                       
                    3) 내이염, 약물중독, 열성질환, 메니에르증후군, 매독, 두부(頭部)  
                외상, 돌발성 난청, 유전성 난청, 가족성 난청, 노인성 난청 또          
                는 재해성 폭발음 등으로 인한 난청이 아닐 것                          
                 
                나. 난청의 측정방법                                                
                    1) 24시간 이상 소음작업을 중단한 후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기준으로 보정된 순음청력계         
                기를 사용하여 청력검사를 하여야 하며, 500헤르츠(Hz)(a)ㆍ             
                1,000헤르츠(b)ㆍ2,000헤르츠(c) 및 4,000헤르츠(d)의 주파수음에        
                대한 기도청력역치를 측정하여 6분법[(a+2b+2c+d)/6]으로 판정           
                한다. 이 경우 난청에 대한 검사항목 및 검사를 담당할 의료기           
                관의 인력ㆍ시설 기준은 공단이 정한다.                                
                    2) 순음청력검사는 의사의 판단에 따라 3~7일 간의 간격으로 3      
                회 이상(음향외상성 난청에 대하여는 요양종결 후 30일 간격으           
                로 3회 이상) 실시하여 검사의 유의차(有意差)가 없는 경우 그           
                중 최소가청력치를 청력장해로 인정하되, 검사결과가 다음의             
                요건 모두를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1개월 후 재검사를 한다.           
                      가) 기도청력역치와 골도청력역치의 차이가 각 주파수마다 10      
                데시벨 이내일 것                                                     
                      나) 상승법ㆍ하강법ㆍ혼합법 각각의 청력역치의 차이가 각 주      
                파수마다 10데시벨 이내일 것                                          
                      다) 각 주파수마다 하강법의 청력역치가 상승법의 청력역치에      
                비하여 낮거나 같을 것                                                
                      라) 반복검사 간 청력역치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가 각 주      
                파수마다 10데시벨 이내일 것                                          
                      마) 순음청력도상 어음역(語音域)(500헤르츠, 1000헤르츠, 2000    
                헤르츠)에서의 주파수 간 역치변동이 20데시벨 이내이면 순              
                음청력역치의 3분법 평균치와 어음청취역치의 차이가 10데               
                시벨 이내일 것


 

 


 


                2. 귀의 장해                                                     
                가. 청력의 장해                                                   

                1) 청력의 측정                                                   
                가) 난청의 장해정도 평가는 영 별표 2 제4호나목에 규정된 측정     
                방법에 따른 순음청력검사의 기도청력역치를 기준으로 6분법         
                {(a+2b+2c+d)/6}으로 판정하되, 가장 좋은 역치를 사용한다.         
                이 경우 소수점 이하는 버리고 각 주파수에서 청력역치가            
                100데시벨(㏈) 이상이거나 0데시벨 이하이면 100데시벨 또           
                는 0데시벨로 본다.                                               
                나) 급성으로 생기는 재해성 난청에 대하여는 급성 음향성 청기      
                장해(急性 音響性 聽器障害)로 하여 직업성 난청과 구분한           
                다.                                                              
                다) 음향성 난청(재해성 난청)에 대한 장해등급의 판정은 요양종     
                결 후 30일의 간격으로 3회 이상 청력검사를 실시하여 유의          
                차가 없는 경우 그 검사치를 기초로 한다.                          
                라) 직업성 난청의 치유 시기는 해당 근로자가 더 이상 직업성       
                난청이 유발될 수 있는 장소에서 업무를 하지 않게 되었을           
                때로 하며, 그 장해에 대한 장해등급의 결정도 치유된 후에          
                하여야 한다.                                                      
 
               2) 장해등급 판정 기준                                            
                영 별표 6에 따른 장해등급의 판정은 아래 기준에 따르되, 청력      
                역치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기준으로 한      
                다.                                                              
                가)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각각 90데시벨 이상인 사람 또       
                는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각각 80데시벨 이상이고 최           
                고 명료도가 30퍼센트 이하인 사람은 영 별표 6의 제4급제3          
                호를 인정한다.                                                   
                나)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각각 80데시벨 이상인 사람 또       
                는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각각 50데시벨 이상 80데시           
                벨 미만이고 최고 명료도가 30퍼센트 이하인 사람은 영 별           
                표 6의 제6급제3호를 인정한다.                                    
                다) 한쪽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90데시벨 이상이고 동시에 다      
                른 한쪽 귀의 평균청력손실치가 70데시벨 이상인 사람은 영          
                별표 6의 제6급제4호를 인정한다.                                  
                라)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각각 70데시벨 이상인 사람 또       
                는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각각 50데시벨 이상이고 최           
                고 명료도가 50퍼센트 이하인 사람은 영 별표 6의 제7급제2          
                호를 인정한다.                                                   
                마) 한쪽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90데시벨 이상이고 동시에 다      
                른 한쪽 귀의 평균청력손실치가 60데시벨 이상인 사람은 영          
                별표 6의 제7급제3호를 인정한다.                                  
                바)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각각 60데시벨 이상인 사람 또       
                는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각각 50데시벨 이상이고 최           
                고 명료도가 70퍼센트 이하인 사람은 영 별표 6의 제9급제7          
                호를 인정한다.                                                   
                사) 한쪽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80데시벨 이상이고 동시에 다      
                른 한쪽 귀의 평균청력손실치가 50데시벨 이상인 사람은 영          
                별표 6의 제9급제8호를 인정한다.                                  
                아) 한쪽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90데시벨 이상인 사람은 영        
                별표 6의 제9급제9호를 인정한다.                                  
                자) 한쪽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80데시벨 이상 90데시벨 미만      
                인 사람은 영 별표 6의 제10급제6호를 인정한다.                    
                차)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각각 50데시벨 이상인 사람 또       
                는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각각 40데시벨 이상이고 최           
                고 명료도가 70퍼센트 이하인 사람은 영 별표 6의 제10급제          
                7호를 인정한다.                                                  
                카) 한쪽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70데시벨 이상 80데시벨 미만      
                인 사람 또는 한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50데시벨 이상이고          
                최고 명료도가 50퍼센트 이하인 사람은 영 별표 6의 제11급          
                제4호를 인정한다.                                                
                타) 두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각각 40데시벨 이상인 사람은        
                영 별표 6의 제11급제5호를 인정한다.                              
                파) 한쪽 귀의 평균 청력손실치가 40데시벨 이상 70데시벨 미만      
                인 사람은 영 별표 6의 제14급제1호를 인정한다.                    

                나. 귓바퀴의 장해                                                
                1) 영 별표 6에서 "귓바퀴에 고도의 결손이 남은 사람"이란 귓바     
                퀴의 3분의 2 이상을 잃은 사람을 말한다.                          
                2) 영 별표 6에서 "귓바퀴에 중등도의 결손이 남은 사람"이란 귓     
                바퀴의 2분의 1 이상 3분의 2 미만을 잃은 사람을 말한다.           
                3) 영 별표 6에서 "귓바퀴에 경도의 결손이 남은 사람"이란 귓바     
                퀴의 3분의 1 이상 2분의 1 미만을 잃은 사람을 말한다.             
                다. 준용등급 결정                                                
                1) 고막의 외상성 천공(穿孔)과 그에 따른 이루(耳漏)는 수술적      
                처치 후 청력장해가 남으면 그 장해의 정도에 따라 등급을 결        
                정한다. 이 경우 청력장해가 장해등급에 해당되지 않지만 항상       
                이루가 있는 경우에는 제12급을 인정한다.                          
                2) 난청이 있고 뚜렷한 이명(耳鳴)이 항상 있는 경우에는 그 증상    
                이 타각적 검사로 증명되는 경우에 제12급을 인정한다.              
                3) 내이의 손상으로 발생한 평형기능(平衡機能)장해에 대하여는      
                신경계통의 기능장해에 준하여 등급을 결정한다.                    
                4) 내이의 기능장해로 평형기능장해와 청력장해가 남은 경우에는     
                조정의 방법을 이용하여 준용등급을 결정한다. 

 

4. 청각장애인                                                                  
                 
가. 청력을 잃은 사람
                                                          
                  제2급                                                                        
                    두 귀의 청력을 각각 90데시벨(dB) 이상 잃은 사람(두 귀가 완전히 들리지      
                아니하는 사람)                                                                 
                  제3급                                                                        
                    두 귀의 청력을 각각 80데시벨 이상 잃은 사람(귀에 입을 대고 큰 소리로       
                말을 하여도 듣지 못하는 사람)                                                  
                  제4급                                                                        
                    1. 두 귀의 청력을 각각 70데시벨 이상 잃은 사람(귀에 대고 말을 하여야       
                들을 수 있는 사람)                                                             
                    2.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최량(最良)의 명료도가 50퍼센트 이하인      
                사람                                                                           
                  제5급                                                                        
                    두 귀의 청력을 각각 60데시벨 이상 잃은 사람(40센티미터 이상의 거리에       
                서 발성된 말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                                           
                  제6급                                                                        
                    한 귀의 청력을 80데시벨 이상 잃고, 다른 귀의 청력을 40데시벨 이상 잃       
                은 사람                                                                        
                 

나. 평형기능에 장애가 있는 사람
                                               
                  제3급                                                                        
                    양측 평형기능의 소실로 두 눈을 뜨고 직선으로 10미터 이상을 지속적으로      
                걸을 수 없는 사람                                                              
                  제4급                                                                        
                    양측 평형기능의 소실 또는 감소로 두 눈을 뜨고 10미터를 걸으려면 중간       
                에 균형을 잡기 위하여 멈추어야 하는 사람                                       
                  제5급                                                                        
                    양측 평형기능의 감소로 두 눈을 뜨고 10미터 거리를 직선으로 걸을 때 중      
                앙에서 60센티미터 이상 벗어나며, 복합적인 신체운동은 어려운 사람               



 4. 청각장애인(聽覺障碍人)                                                      
     가. 두 귀의 청력 손실이 각각 60데시벨(dB) 이상인 사람                        
     나. 한 귀의 청력 손실이 80데시벨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데시벨 이상인 사람
     다.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명료도가 50퍼센트 이하인 사람                
     라. 평형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제45조(자동차등의 운전에 필요한 적성의 기준)

①법 제83조제1항제1호, 법 제87조제1항 및 법 제88조제1항에 따른 자동차등의 운전에 필요한 적성의 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법 제87조제1항 및 법 제88조제1항에 따른 적성검사의 경우에는 제2호의 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1. 시력(교정시력을 포함한다)은 다음 각 목의 구분에 의한 기준을 갖출 것

가. 제1종 운전면허

    두 눈을 동시에 뜨고 잰 시력이 0.8 이상이고, 양쪽 눈의 시력이 각각 0.5 이상일 것

나. 제2종 운전면허

    두 눈을 동시에 뜨고 잰 시력이 0.7 이상일 것. 다만, 한쪽 눈을 보지 못하는 사람은 다른 쪽 눈의 시력이 0.7 이상이고 시야가 150도 이상이어야 한다.

2. 적색ㆍ녹색 및 황색의 색채식별이 가능할 것

3. 청력(제1종 운전면허에 한한다)

  55데시벨의 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 다만, 보청기를 사용하는 사람은 40데시벨의 소리를 들을 수 있어야 한다.

4. 조향장치나 그 밖의 장치를 뜻대로 조작할 수 없는 등 정상적인 운전을 할 수 없다고 인정되는 신체 또는 정신상의 장애가 없을 것. 다만, 보조수단이나 신체장애 정도에 적합하게 제작ㆍ승인된 자동차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운전을 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제1항 각 호의 기준에 따른 적성판정은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운전면허시험기관의 장에게 신고한 의료기관이 발행한 신체검사서(제53조에 따른 정기적성검사의 경우에는 「국민건강보험법」 제47조에 따른 건강검진결과통보서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 의한다. 다만, 제1항제4호 단서의 경우 신체검사서에 의하여도 판정하기 곤란한 사람이 자동차운전학원에서 20시간 이상 기능교육을 받은 사실이 있는 등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때에는 적성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본다.<개정 2008.2.29>

③운전면허시험기관의 장은 제2항 본문에 따라 적성검사를 행하는 의료기관에 대하여 적성검사의 절차ㆍ방법 및 기준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지시할 수 있다.

④제1항제4호 단서의 규정에 해당하는 사람에 대한 운전면허의 기준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한다.<개정 2008.2.29>











제5장 소음 및 진동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

제1절 통칙

 제58조(정의) 이 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호와 같다.

1. "소음작업"이라 함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한다.

2. "강렬한 소음작업"이라 함은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작업을 말한다.

가.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

나. 9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

다.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

라. 10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

마. 11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30분 이상 발생되는 작업

바. 11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5분 이상 발생되는 작업

3. "충격소음작업"이라 함은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작업으로서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작업을 말한다.

가. 120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만회 이상 발생되는 작업

나. 130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천회 이상 발생되는 작업

다. 140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백회 이상 발생되는 작업

4. "진동작업"이라 함은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기계ㆍ기구를 사용하는 작업을 말한다.

가. 착암기

나. 동력을 이용한 해머

다. 체인톱

라. 엔진 컷터

마. 동력을 이용한 연삭기

바. 임팩트 렌치

사. 그밖에 진동으로 인하여 건강장해를 유발할 수 있는 기계ㆍ기구

5. "청력보존프로그램"이라 함은 소음노출평가, 노출기준 초과에 따른 공학적 대책, 청력보호구의 지급 및 착용, 소음의 유해성과 예방에 관한 교육, 정기적 청력검사, 기록ㆍ관리 등이 포함된 소음성 난청을 예방관리하기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말한다.



제2절 강렬한 소음작업 등의 관리기준

 제59조(소음감소 조치) 사업주는 강렬한 소음작업 또는 충격소음작업 장소에 대하여는 기계ㆍ기구 등의 대체, 시설의 밀폐ㆍ흡음 또는 격리 등 소음감소를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작업의 성질상 기술적ㆍ경제적으로 현저히 곤란하다는 관계 전문가의 의견이 있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60조(소음수준의 주지 등) 사업주는 소음작업ㆍ강렬한 소음작업 또는 충격소음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때에는 다음 각호에 관한 사항을 근로자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

1. 당해 작업장소의 소음 수준

2.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증상

3. 보호구의 선정 및 착용방법

4. 그밖에 소음건강장해 방지에 필요한 사항


 제61조(난청발생에 따른 조치) 사업주는 소음으로 인하여 근로자에게 소음성 난청 등의 건강장해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 각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당해 작업장의 소음성난청 발생 원인조사

2. 청력손실감소 및 재발방지 대책 마련

3. 제2호의 규정에 의한 대책의 이행여부 확인

4. 작업전환 등 의사의 소견에 따른 조치



제3절 보호구 등

 제62조(청력보호구의 지급 등) ①사업주는 소음작업, 강렬한 소음작업 또는 충격소음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때에는 청력보호구를 지급하고 착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청력보호구는 근로자 개인에게 전용의 것으로 지급하여야 한다.


 제63조(보호구의 관리) 사업주는 지급한 청력보호구에 대하여는 상시 점검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보수하거나 다른 것으로 교환하여 주어야 한다.


 제64조(청력보존프로그램 시행 등) 사업주는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청력보존프로그램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1. 법 제42조의 규정에 의한 소음의 작업환경측정결과 소음수준이 90데시벨을 초과하는 사업장

2. 소음으로 인하여 근로자에게 건강장해가 발생한 사업장



제4절 진동작업 관리

 제65조(진동보호구의 지급 등) 사업주는 진동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때에는 방진장갑 등 진동보호구를 지급하여 착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제66조(유해성 등의 주지) 사업주는 진동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때에는 다음 각호의 사항에 관한 내용을 근로자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

1.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증상

2. 보호구의 선정 및 착용방법

3. 진동기계ㆍ기구 관리방법

4. 진동장해 예방방법


 제67조(진동기계ㆍ기구 사용설명서의 비치 등) 사업주는 진동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때에는 당해 진동기계ㆍ기구의 사용설명서 등을 작업장내에 비치하여야 한다.


 제68조(진동기계ㆍ기구의 관리) 사업주는 진동기계ㆍ기구에 대하여는 상시 점검하여 보수하는 등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ㆍ관리하여야 한다.

     
<김형재의 청능재활 블로그 :
스타키보청기 분당-용인 난청센터, www.StarkeyN.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