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40일된 딸가진 아빠 입니다2014/09/23 13:44

안녕하세요?
청력 검사 관련 문의 드립니다.
제 딸이 2014 814일에 40 5일만에 태어 났으며,
태어났을시 아무런 문제가 없었으나,
신생아 청력 선별 검사에서 재검으로 대학병원 정밀 검사 받으라고
진료 의뢰서를 작성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한달뒤에 2014917일에
ABR
검사를 시행 하였으나 양쪽 귀 반응 없음으로
본원으로 내원하여 추가 검사를 하고 추후 어떻게 진행 할 것인지는
본원에 경력있는 선생님께서 진행 해주신다고
또 다시 의뢰서를 작성해 주셨습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922일 서울에 있는 종합 병원에 특진을
받았으나 선생님께서 하시는 말씀이 아직 어려서
6
개월후 검사예약 잡고 그때따시 보자고 하셔서
귓속 내부 현미경으로만 관찰해주셨습니다.
그런데 특이점이 대학병원 진찰시 귀속에 깨끗하고 고막도
정상이었는데...
이번 종합 병원에 확인시 태지같은 이물질과 고막도 아직 물에 젖어 있다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이물 및 고막이 검사 결과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말씀도 해주셨구요
혹시 6개월뒤만 바라보고있는 저희 부부에게 답답할 심정뿐입니다.
혹시 6개월뒤에 검사 결과가 바뀔수도 있는것 인지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청능사(audiologist) 김형재입니다.

재검을 기다리시는 6개월의 시간이 얼마나 길게 느껴지실지 부모님의 애타는 마음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임상에서 확인한 바에 의하면 아동은 현재 생후 40일로 매우 어린 나이기에 뇌의 발달 과정에 따라 검사 결과의 차이가 나타날 수도 있으리라 사료되며, 6개월 뒤의 재검사를 기다리시는 동안 부모님과 아동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첨부 해 드리고자 합니다.

 

1. 아동의 의사소통 특성 파악을 위한 정보

의사소통행동(communication act) 5가지 유형: 제스처, 발성, 말, 제스처+발성, 제스처+

2.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 파악을 위한 정보

[동영상] 연령에 따른 언어발달: 영유아기, 학령전기, 학령기. 청소년기

3. 청성뇌간유발반응검사(ABR, Auditory Brainstem Response)에 대한 정보

생후 85 유소아난청아동의 중이염과 ABR 검사의 연관성 청능재활

4. 유소아난청아동의 보장구 적응 및 청능훈련에 대한 정보

유소아난청아동의 보청기 초기적응: 보청기 착용시간, 소리반응(보청기 효과) 휘팅

고심도 유소아난청아동의 언어발달 정도에 따른 청능재활: 음장자유검사, 보청기내구연한

 

감사합니다.

 

                        

 

 

 

 

모델 : Xino Classic 90 (RIC)

소비자 가격 : 330만원 (몰드 포함)

렌탈 가격 : 가입비 30만원 + 5만원/
   - 렌탈 3개월 내 맞춤형 보청기 구입시 가입비, 렌탈비 차감

     (3개월 내 렌탈 해지시 가입비 30만원 전액 환불)

   - 렌탈 36개월 후에는 고객 소유권 이전됨

   - 렌탈기간 중 수리비 무상 제공

   - 상세 내용은 아래 문구 참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청능사(audiologist) 김형재 입니다.

 

Sophono사는 접합 연결부가 없는 Alpha1, Alpha2 등의 이식형 골전도보청기 전문회사입니다.

보청기의 이식기는 티타늄 케이스로 밀폐된 2개의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식기의 노출이 없이 처리기와 이식기에 부착 된 자석으로 연결됩니다.

 

 

4가지의 프로그램과 8채널로 구성되어 있고, 이득 53 dB까지 음향 되울림(Feedback) 없이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보청기 배터리의 수명은 약 2주입니다.

또한, MRI 검사 시 자기장 1.5 ~ 3 Tesla에서 이식기 제거 없이 검사 가능합니다.

 

유사 제품인 이식형 골전도보청기 바하(BAHA)는 이전 포스팅 자료 링크 걸어드리오니 참조 부탁 드립니다.

 

아래는 제88차 대한이비인후과 학술대회에서 구연발표한 초록입니다.

 

Auditory Rehabilitation with Sophono Alpha 2 TET

Soree Ear Clinic¹, Dept of Otorhinolaryng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²

Ho-Ki Lee, Ho-Ki Lee¹, Sung Huhn Kim², Jae Young Choi², Hong-Joon Park¹, Seung-Chul Lee¹, Joong-Wook Shin¹, Jee-Sun Choi¹, Han Q Park¹, Jeong-Taek Lim¹

 

목적 : Sophono Alpha 2 TET는 골전도를 이용한 청각재활의 한 방법으로 기존의 BAHA 접합부를 이용한 보청기 연결방식과는 달리 피하에 자석을 이용한 보청기 고정장치를 이식하기 때문에 접합부 주위 피부합병증을 근원적으로 피할 수 있다. 현재 30개국 이상의 나라에서 약 2,500례 이상이 시술되었으나 국내에서는 2013 12월에 첫 시술 이후 아직 그 결과에 대한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난청 환자에서 Sophono Alpha 2 TET시술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 청각재활을 위해 내원한 환자 중 골전도 보청기의 적응이 되어 2013 12월부터 2014 2월까지 Sophono Alpha 2 TET시술을 시행 받은 환자 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난청의 원인으로 양측 소이증 3, 일측 소이증 1, 양측 만성중이염 1, 유일청 1례였다. 성별은 남 2, 4례였으며 나이는 평균 29(9~71)였다. 시술시간, 시술시 문제점, 술후 합병증 유무, 수술 2~4주 후 외부장치를 착용시 청력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시술은 외이도 후상방에 피부절개 후 두개골을 노출시키고 magnetic implant가 놓일 공간을 만든 후 5개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 피부봉합까지 평균 1시간이 소요되었다. 스크류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는 두개골에 적정 깊이의 가이드 드릴링이 필요하였다. 술후 외부장치(Alpha 2)를 착용하였을 때 모든 환자에서 40dBHL 이내의 순음청력역치를 보였으며 특히 중간 주파수 영역대에서 청력개선 효과가 두드러져 1kHz에서는 20dBHL의 청력역치를 보였다. 전방 잡음(65dB)과 신호음을 주며 시행한 HINT 검사에서 양측 소이증 3례와 만성중이염 1례에서 평균 4.8dB(2.4~7.8dB) SNR 호전을 보였다. 소리의 방향성 분별력은 양측 소이증 1례와 일측 소이증 1례에서 향상을 보였다. 술후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 이식형 골전도 보청기인 Sophono Alpha 2 TET는 전음성 난청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청각재활을 제공할 수 있다.

 

[연관글]

 

[청능재활 신기술] 바하(BAHA) 1 이식형 골전도보청기와 인공와우 대상자

[청능재활 신기술] 바하(BAHA) 2 이식형 골전도보청기 바하 원리

[청능재활 신기술] 바하(BAHA) 3 소프트밴드형 바하 원리

 

 

 

 

 

 

1. 세미나 안내

 

미국에서 청각학과 교육기관으로 인증을 진행하는 ACAE (Accreditation Commission of Audiology Education) 기관의 위원 중 회장직을 맡고 있는 Dr. Lisa Hunter (Chair of ACAE) and Ms. Doris Gordon (Executive director of ACAE)이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청각학과를 방문할 예정입니다.

 

세미나를 통해 최근 국제청각전문가(Audiology Doctor, AuD) 인증과정 및 최근 미국 청각학의 동향을 알아보실 수 있는 기회입니다.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2. 세미나 일정

 

Seminar Title: Accreditation of Audiology Education - US style

Invited speaker: Dr. Lisa Hunter (Chair of ACAE),

         Ms. Doris Gordon (Executive director of ACAE)

날짜 및 장소: 2014. 09. 17. 7-8 pm.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제 1관 한림홀(아래 약도 참고)

대상자 : 청각학과 재학생 및 졸업생, 국제청각전문가(Audiology Doctor, AuD)에 관심이 있는 모든 청각학 관련 종사자 참석가능

 

 

 

 

 

심청이 진행자 청능사 김형재입니다.

 

심오한 청각학 이야기 (심청이)’로 전해드리는 두 번 째 방송입니다.

 

오늘은 청능재활 신기술로서 스타키보청기 헤일로(Hal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움 말씀은 ()스타키코리아 정회령 이사님을 모시고 스타키보청기 헤일로(Halo)의 다양한 기능에 대해 재미있게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인터뷰를 통해 다음의 내용으로 질문을 드리고 답변을 구해봤습니다.

 

Q1. 대한민국 보청기 산업에서 20년 가까운 경력을 지니고 계시고 이번 달 초에 미국을 방문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최근 출시되는 보청기 트렌드에 대해 간략히 말씀 부탁드립니다.

Q2. 스타키보청기와 애플사가 공동 개발한 개방형 보청기 헤일로 에 대해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Q3. 보청기 착용 난청인에게 이어폰과 헤드폰 없이 스마트폰으로 직접 음악감상을 할 수 있다고 하는 데 주요 특징은?

Q4. 자동차 내부 연동기능과 분실시 찾기 기능은 무엇?

Q5. 끝으로 헤일로가 가지고 있는 마이크 기능은 무엇입니까?

 

정말 재미있는 내용을 다룬 인터뷰였던 것 같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통해서 가져가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심청이 진행자 청능사 김형재입니다.

심오한 청각학 이야기 (심청이)’로 전해드리는 첫 방송입니다.

앞으로 많은 기대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청각언어재활 소프트웨어 스피치미러’, ‘한글짱에 대해 소식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스크립터]

현재 정부에서 청각언어장애인을 대상으로 청각언어훈련 프로그램 스피치미러 한글짱을 보급하는 정보통신보조기기 보급사업을 시행중에 있습니다.

두 제품을 개발하신 클루~소프트 박봉래 대표님을 모셨습니다.

Q.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사업이란 어떤 것인가요?

Q. 클루~소프트에서 개발하신 스피치미러와 한글짱에 대해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Q. 스피치미러와 한글짱의 개발기간은 어떻게 됩니까?

Q. 두 제품과 관련하여 정부의 지원 내용은 무엇입니까?

Q. 청각언어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한 청각언어장애인에게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신청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청능사(audiologist) 김형재입니다.

 

블로그에 청각학 전공학생이 남긴 메니에르병 진단 방법에 대한 질문이 있어 정리해보았습니다.

 

메니에르병(Meniere’s disease)은 어지러움, 감각신경성난청, 이충만감, 이명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질환으로 가장 크게 내림프액의 증가가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메니에르병의 원인이 뚜렷하게 보고된 바가 없기 때문에 메니에르병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여러 가지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임상에서 메니에르병을 진단하는데 시행하는 대표적인 검사항목 3가지를 안내 해 드리겠습니다.

 

1. 전기와우도 검사(EcoG, Electrocochleargraphy)

청각유발전위검사(Auditory Evoked Potential) 중 전기와우도 검사는 와우(Cochlea) 근처에 전극이 위치하여 자극 후 1.5~2ms에 와우에서 나타나는 초기반응을 측정하는 특수청력검사입니다.

내림프수종의 진단, 원인(손상부위)을 추정하는데 유용한 검사 항목입니다.

 

2. 전정유발근전위 검사(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

전정기능검사 중 전정유발근전위 검사는 목 부위에 위치한 흉쇄유돌근에 전극을 부착하여 구형낭(saccule), 전정(Vestibule)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3. 순음청력검사(Pure Tone Audiometry)

메니에르병은 청력손실도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청력손실 정도, 청력손실 형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순음청력검사 또한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항목입니다.

 

상기 자료는 청각검사지침’ (대한청각학회, 학지사)어지러움’ (단국대 의과대학 이비인후과교실 교수 이정구, 단국대학교출판부)을 참조 하였으며, 전기와우도검사는 청각검사지침 p.143, 전정유발

근전위검사는 어지러움 p.239, 순음청력검사 어지러움 p.313을 참조바랍니다.

 

 

 

 

메니에르병 관련 이전 포스팅 자료 첨부 해 드리오니 참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연관글]

메니에르병

 

 

 

 

스타키보청기(귀걸이형) DP7은 대표적인 저가형 귀걸이형 보청기로서 최대출력 130dB, 이득 62dB이며, 사용되는 배터리 13A입니다.

 

보청기 사용 중 남성 목소리와 같은 중저음이 크게 들리거나 다소 울릴 경우 소리 조절을 쉽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소형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시고, 보청기의 볼륨조절기 하단을 자세히 보시면 일자형 드라이버가 들어갈 만한 홈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림 1. 'LC', 'AO'로 표시된 2개의 스크류식 단자>

 

볼륨조절기 하단 뚜껑의 상단부를 소형 일자형 드라이버 사용하여 아래쪽으로 열게 되면 그림 1과 같이 'LC', 'AO'로 표시된 2개의 스크류식 단자가 보입니다.

 

<그림 2. 'LC' 단자 조절 전의 출력상태>

 

<그림 3. 'LC' 단자를 우측으로 조절 후의 출력상태>

 

'LC' 단자를 시계방향(8->4)으로 돌리면 남성의 목소리와 같은 저주파 영역의 소리가 감소되어 울림이 심할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림 2, 그림 3 참조)

만약 저음이 작게 들리거나 소리가 답답하게 들릴 때에는 위의 단자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개선될 수 있습니다.

 

<그림 4. 'AO' 단자 조절 전의 출력상태>

 

<그림 5. 'AO' 단자를 우측으로 조절 후의 출력상태>

 

또한 대화음은 편안하게 들리지만 상대적으로 주변 환경음이 너무 크게 들려서 불편을 느낄 경우에는 ‘AO’ 단자를 시계방향(8->4)으로 돌리면 주변 환경음을 최대로 작게 줄일 수 있어 시끄러운 식당 및 대형 마트에서 대화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림 4, 그림 5 참조)

 

 

보유중인 귀걸이형 보청기 사용에 불편한 점이 있을 경우 가까운 센터를 방문하시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소리를 조절하면 보다 편리하게 보청기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청각학-청능재활 전문서적, 저자와의 만남>에 기꺼이 응해주시어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오늘은 교수님께서 개발하신 어음청각검사 국가 표준화의 의의와 뒷말씀을 경청하고자 합니다.

 

Q 1. 먼저 어음청각검사란 무엇을 의미합니까?

       그 개념에 대해서 우리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 부탁드립니다.

 

Q 2. 어음청각검사 국가 및 국제 표준화를 하신 배경은 무엇인지요?

 

Q 3. 어음청각검사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듣고 싶습니다?

 

Q 4. 어음청각검사 국가 및 국제 표준화, 그 의의는 무엇이라고 할 수 있는지요?

 

Q 5. 표준화된 어음청각검사가 청능재활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으신지요?

 

Q 6. 끝으로 현재 추진하고 계신 연구가 있으시다면 간단하게 소개 부탁드립니다.

 

 

난청을 동반하는 이명환자들에게 각광받았던 기존의 Xino Tinnitus(지노 티나이터스) 보청기 채널이 1(Xino Tinnitus 90 대응품 : 12채널)이었는데 20144월말 5(Xino Tinnitus 20-110 : 4, 6, 8, 12, 16채널)으로 4종이 추가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가격대가 2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다양하여 선택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16채널 고채널 보청기 개발로 난청 패턴이 까다롭거나 활동성이 높은 학생, 직장인에게도 만족도가 높은 보청기 선택이 가능해졌습니다.

 

 

 

 

성능면에서는 독립어음 조절기능(ISO Compression), 방향성 기능(InVision Directionality), 신기술피드백 기능(PureWave Feedback Eliminator)이 강화되어 소음환경에서 청취력이 향상되고, 또한 음원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고출력으로 증폭시 음향이 새어나오는 것(~~음 발생)을 차단하여 보다 편리하게 보청기 착용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러나 기존의 주파수 이동기능(Spectral IQ)은 그대로 탑재되어 고주파 청력이 급감하는 난청패턴에게 청능재활은 변동이 없습니다.

보다 자세한 상담이나 체험을 원하시면 저희 스타키보청기 분당-용인난청센터를 방문 부탁드립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