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arkey Yongin Hearing Care Center

5F Panasia buiding, 524-1, Mabuk-Dong, Giheung-Gu, Yongin-Si, Gyeonggi-Do, Korea
Tel. +82-31-275-0099, Fax. +82-31-275-0025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rkeyN (Starkey Hearing Aid) Services  (0) 2009.12.04
StarkeyN (Starkey Hearing Aid) Staff  (0) 2009.12.04
Address for Starkey Bundang Hearing Care Center  (0) 2009.02.03
StarkeyN Web Space  (0) 2009.02.03
StarkeyN Mission  (0) 2009.02.03

■ Starkey Bundang Hearing Care Center
3F Bundang Plaza, 23-1, Gumi-Dong,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Korea
Gate #3, Migeum subway station
Tel. +82-31-719-8119, Fax. +82-31-719-8058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rkeyN (Starkey Hearing Aid) Services  (0) 2009.12.04
StarkeyN (Starkey Hearing Aid) Staff  (0) 2009.12.04
Address for Starkey Yongin Hearing Care Center  (0) 2009.02.03
StarkeyN Web Space  (0) 2009.02.03
StarkeyN Mission  (0) 2009.02.03



▒ Starkey Bundang-Yonging Hearing Care Center
Webpage
http://www.StarkeyN.com

▒ Starkey Bundang Hearing Care Center Blog
http://www.AudiologyKorea.com

▒ Audiology Internet Cafe
http://cafe.daum.net/audiologykorea




We are passionately researching in auditory rehabilitation for the hearing-impaired by hearing evaluation, hearing aids fitting, and hearing aids repairs based on Audiology.



미국청각학회에 자격증을 가진 청각전문가의 명단이 발표되어 있습니다.
자격시험이 시행된 이래 2009년 1월 현재 총 59명이 자격을 취득하였습니다.

 
 ABA Board Certified Audiologists with a Specialty in Cochlear Implants

 

Roxanne J. Aaron , M.A.
Johanna Allport, Au.D.
Kristine R. Ash, M.A.
Julie A. Bates, M.S.
Mary B. Brinson, Au.D.
Lana Britt, M.S.
Barbara A. Buck, Au.D.
David G. Catlett, M.S.
Jeanne Coburn, M.A.
Jillian A. Crosson, Ph.D.
Pamela Dickinson, M.S.
Audra L. Dierkes, M.S.
Susan G. Dreith, M.S.
Paula J. Dyhrkopp, Au.D.
Barbara A. Eisenmenger, Au.D.
Barbara N. Foster, M.A.
Kevin H. Franck, Ph.D., M.B.A.
Christy Miller Gardner, M.S.
Ginger D. Grant, M.S.
Margaret J. Hamilton, Au.D.
Melissa A. Harawitz, M.S.
Carmen D. Hayman, Au.D.
Joan G. Hewitt, Au.D.
Alice E. Holmes, Ph.D.
Beth A. Holstad, M.S.
Julibeth M. Jones, M.A.
Seema Katiyar, Au.D.
Jannine B. Larky, M.A.
Virginia Kitch Lupo, M.S.
April M. Luxner, M.S.
Katherine H. Melone, M.S.
Dawna M. Mills, Au.D.
Setsuko L.  Murakami, M.S.
Claudia Mason, Au.D.
Carissa J. Moeggenberg, M.A.
Leigh Ann M. Monthey, M.A.
Michele C. Mundok, Au.D.
Sarah L. Novodoff, Au.D.
Michael D. Page, M.C.D.
Stacy L. Payne, M.A.
Susan P. Peters, M.Cl.Sc.
Joy D. Peterson, Au.D.
Allison K. Pezzullo, M.S.
Katherine P. Phelan, Au.D.
Nancy Plant, Au.D.
Kristina L. Plewes, M.Sc.
Amy L. Popp, Au.D.
Laura Price, Au.D.
Kristine O. Rafter, M.A.
Linda Royster, Au.D.
Alison P. Sabbar, Au.D.
Millicent Seymour, M.A.
Jared B. Schnackenberg, M.A.
Mary Jo Schuh, M.S.
William H. Shapiro, M.A.
Sharon L. Smith, Au.D.
Valerie G. Sonneveldt, Au.D.
Amy L. Stein, M.S.
Stuart S. Upson, M.S.



오늘 아침에 미국청각학회로부터 한 통의 E-MAIL이 도착하였습니다. 
제목이
'인공와우(CI, Cochlear Implant) 전문 자격시험' 이었습니다.

우리나라도 건강보험공단에서 인공와우를 의료보험에 적용하고 있음에도 국내에는 제대로 된 인공와우 전문자격 제도가 없어 의료 후진국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루 빨리 선진국처럼 인공와우 전문자격을 부여할 수 있는 청능사(Audiologist) 제도가 국내에 정착되어 난청 아동(성인)들의 인공와우 이식수술 후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청능재활이 이루어지길 소망해봅니다.

    
                                                       ↖  E-MAIL의 전문입니다.


상세 내용을 알고 싶어 
알림장의
www.americanboardofaudiology.org 주소를 또 클릭!!

아래와 같이 인공와우 전문자격 내용이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네요.

Delivery of services to cochlear implant patients requires a specialized set of knowledge and skills. In recognition of this skill set, the American Board of Audiology has created a specialty certification program in Cochlear Implants (CI). This program is the result of meetings held between the ABA Board, audiologists currently working with cochlear implants, and representatives from three implant manufacturers: Advanced Bionics, Cochlear Americas and MED-EL.

In establishing this program, the American Board of Audiology (ABA) conducted a job analysis survey for cochlear implant specialists as part of the Board's continuing effort to offer audiologists specialty certification in this practice setting.

The idea for developing specialty certification arose within the ABA early in 2000 as a method of elevating the status of certification and identifying individuals in areas of specialty practice. Some of the reasons that certification may be valuable to you include:

  • Standardizes training and knowledge of CI audiologists; specialty certification identifies the knowledge required to promote better patient outcomes.
  • Verifies professional experience to employers and helps identify individuals who are qualified to fulfill a job description related to the cochlear implant population.
  • Provides consumers a method of identifying audiologists with expertise in cochlear implants and increases confidence in consumer's view of the audiologist's level of expertise.
  • Describes a training plan for individuals interested in specializing in cochlear implants.
  • Helps individual audiologists identify themselves as experts; increases professional self-esteem.
  • Assists the profession in defining our scope of practice.
  •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an heightened standard of living through appropriate salaries, provides a basis of career advancement, and maintains an adequate number of audiologists working with cochlear implants.
         (번역안하셔도 우리 한국의 청능사분들 쉽게 이해하시죠? ^^)




 



청능사자격검정원에서 아래와 같이 교육이 있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참석 바랍니다.

----------------------------------------------
제목: 청능치료 바우처 신청 실무교육
일시: 2009년 2월 3일 (화) 18:30 ~ 20:00 (2시간 인정)
장소: 서울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1관 한림홀(약도 첨부)
접수: 2009년 1월 20일(화) ~ 2월 2일(월)까지(자리 마감 시 종료)
(문의: 02-552-4236)
---------------------------------------------





어제 KBS 생로병사를 보면서 각인된 내용이 있어 올려봅니다.

사람이 살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인데,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한 조건을 다음과 같이 3가지를 나열하더군요.

1. 첫째 가족과 나에게 시간을 투자하라.
2. 둘째 취미생활을 하라.
3. 셋째 긴밀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면서, 휴식을 취하라.

요즈음 사회가 너무 빠르게 급변하다보니, 우리도 모르게 빠르게 적응되는 것 같습니다.
음식, 생활, 생각.....이제 천천히 하는 습관을 가지고 여유롭게 생활을 하고자 합니다.





(재)경영기술개발원의 이수진 행정과장님으로부터 수신된 메일을 공지드립니다.
청각장애인분들의 향후 취업에도 도움이되는 내용이라 공지드리오니
자기개발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 교육비  

ㆍ무료 (교육수당 매월 지급)  


■ 교육대상자 

ㆍ고졸이상의 등록 청각장애인, 언어장애인  

ㆍ훈련에 대한 의지와 신념이 있는 청각장애인, 언어장애인


■ 모집기간

ㆍ2009년 01월 15일 ~ 2009년 03월 09일 


■ 교육기간 

ㆍ2009년 03월 09일 ~ 2010년 02월 24일 

ㆍ오전 09시 00분 ~ 오후 5시 00분


■ 접수서류 

ㆍ복지카드 또는 장애수첩 사본1부

ㆍ본인명의 통장사본(우리은행) 

ㆍ주민등록등본 2통 

ㆍ반명함사진3매


■ 교육내용

ㆍPhotoshop, Illustrator : 쇼핑몰 전체 분위기를 조정하는 비주얼 이미지의 제작과 색채학으로 접근한 이미지 제작으로 소비자의 심리를 움직일 수 있는 쇼핑몰을 만들 수 있는 활용기법.

ㆍFlash, Dreamweaver : Web TV, e-Card,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동적 이미지 제작과정. 웹 페이지 제작 툴을 사용한 전문적인 웹 페이지 제작 과정.

ㆍHtml/Javascript : 웹의 개념과 HTML / CSS /JavaScript 를 학습.

ㆍ3Ds max : 3d 모델링 및 게임캐릭터 제작 과정 .

ㆍAdobe Premiere : 직접 촬영하여 제작하는 영상 편집 전문가 과정

ㆍOA : 실무에 필요한 사무자동화 과정(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ㆍWindow Xp : 운영체제 사용과 인터넷의 기초 학습 과정.

ㆍ프로젝트 : 프로젝트 기획부터 제작까지의 실무 전문가 과정.

ㆍ자격증 대비 특강 : 웹디자인기능사 자격증, 게임그래픽전문가 자격증, 게임그래픽전문가 자격증, 워드프로세서, ITQ 자격증 취득.


■ 취업분야  

ㆍ쇼핑몰 웹 디자이너

ㆍ게임그래픽 디자이너

ㆍ포털 사이트

ㆍ옥션 사이트

ㆍ웹 에이전시

ㆍ소호 비지니스 



■ 교육생 특전  

ㆍ훈련비 전액 무료

ㆍ훈련준비금, 훈련수당(교통비, 식비) 가족수당(해당자) 지급

ㆍ특별활동반 운영(컴퓨터관련 자격증 취득반)

ㆍ캠프, 야유회, 관련 전시회 및 세미나 참석

ㆍ1인1PC 프로그램 교육, 인터넷 전용회선 이용

ㆍ장학금 지급(성적우수자 및 팀별 포상)



■ 문의 및 상담  

 (재)경영기술개발원

ㆍTEL : 02)857-6300

ㆍ문자 : 010-8689-1303

ㆍ담당자 : 김경선 교무처장, 정주현 교사

ㆍ홈페이지 : http://www.iedu.or.kr

ㆍ웹디자인 6기생 작품 및 샘플강좌 : jjoohyun.mireene.com




용인시에서 
원활한 일상생활이 어려운 “1급 등록 장애인”에게 활동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해당 장애인이나 가족분께서는 아래 전화번호로 상세 문의하시어 복지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신청기간 : 연중

 대 상 자 : 장애1급 등록 장애인중 만6세~만65세미만

 신 청 자 : 장애인 본인 또는 가구원

 제출장소 : 거주지 읍면동사무소 방문

 제출서류 : 서비스신청서(읍면동비치), 바우처카드 발급 신청서

 선정기준 : 장애1급으로 『인정조사표』에 의해 일정기준 이상인 자

 지원내용 : 지원대상자 본인에 대한 가사, 일상생활 지원 등

 본인부담금 : 소득 수준에 따라 본인부담 차등 (월2만~4만원), 수급자 무료

 문   의 :  거주지 읍면동사무소

 사업 기관

 용인시장애인종합복지관 : 처인구 고림동 954-1 (☎ 320-4800)

 서북부장애인종합복지관 : 기흥구 보정동 1097-8 (☎ 895-3200)
 

 문    의 :  용인시청 사회복지과(☎324-2216)

 
  처인구청 주민생활지원과 (☎324-5262)

                기흥구청 주민생활지원과 (☎324-6263)

                수지구청 주민생활지원과 (☎324-8262)


           처인구             기흥구             수지구
  포곡읍  324-5603

모현면 324-5623

남사면 324-5643

이동면 324-5662

원삼면 324-5683

백암면 324-5701

양지면 324-5723

중앙동 324-5752

역삼동 324-5772

유림동 324-5791

동부동 324-5811

  신갈동 324-6611

구갈동 324-6628

상갈동 324-6643

기흥동 324-6664

서농동 324-6687

구성동 324-6702

마북동 324-6725

동백동 324-6753

상하동 324-6786

보정동 324-6773


  풍덕천1동 324-8604

풍덕천2동 324-8623

신봉동    324-8642

죽전1동  324-8667

죽전2동  324-8686

동천동    324-8711

상현1동   324-8731

상현2동   324-8744

성복동    324-876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