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로부터 김치훈정책실장, 김형재, 김진숙교수님, 양한석선생님, 서영란선생님)




전국장애인 부모연대(www.bumo.or.kr) 주관으로 Focus Group 토론회가 2010년 7월16일(금) 한림국제대학원 대학교 제 1관 207호에서 개최 되었습니다.


토론회 참여 패널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정학교수님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청각학과
)
이경원교수님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청각학과, 청능사자격검정원)
김진숙교수님 (한림대 청각언어학과)

김형재          (스타키보청기 분당난청센터)
서영란선생님 (경신난청센터)
양한석선생님 (다산청능재활연구원)
조교훈선생님 (광주여자대학교)
김선희선생님 (청음회관) 

이상 청능재활 분야 전문가 여덜분과 김치훈정책실장(전국장애인부모연대)이 3시간여에 걸쳐 열띤 토론이 있었습니다.


주제는 ‘가칭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안)’과 관련하여 장애아동 복지방향에 관한 전문가의 의견 중 청능사 파트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였습니다.


(좌로부터 장애인부모연대 기록관,  김치훈정책실장, 김형재)



회의 진행은 주최측인 전국장애인 부모연대가 '장애인 재활치료 제도의 합리적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학제간 협동 연구 - FGI 공통 질문지(개방형)'가 사전에 배포되었고 이에 대한 답변서를 준비하여 발표하는 자리였습니다.


모두발언의 포문을 연 전국장애인 부모연대 김치훈정책실장은 2010년 초부터 과거의 ‘치료교육’이 ‘치료지원’으로 개념이 바뀜으로서 장애아동에 복지지원에 대해서 6개 영역으로 나뉘어 순차적으로 분야별 연구위원들과 토론회를 거쳐 향후 제도 개정에 반영하고자 하는 자리임을 밝히고 전날(7월 15일) 첫 순서로 물리치료와 작업치료 전문가분들과 토론회를 거쳤다고 말했습니다.


여러 가지 주제를 놓고 토론을 하였습니다만, 그 중 하나를 소개해 드립니다.


6. (“재활치료”의 법적 재규정)

 6-1. 서구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Therapy"라는 용어가 우리나라에서는 “(의료적)치료”, “재활치료”, “치료지원”, “치료교육”, “훈련” 등의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어 왔고, 의료나 특수교육 등 타 전문영역과도 역할 상 맞닿아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만일 의료계 등과의 직역갈등을 피하고, ”장애아동 재활치료“를 공적 지원체계 속에 하나의 독립적인 전문영역으로 구축하고 활성화하기 위하여 ”치료“라는 용어를 다른 것으로 대체하여 관련법에 규정한다고 하면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6-2. 만일 “재활”이나 “치료”라는 용어를 쓰지 않고 이 서비스를 새롭게 규정한다면 어떤 용어가 적절하겠습니까?


상기 2가지 질문에 대한 토론이 가장 핵심이자 열띤 부분이었는데

재활(rehabilitation)’의 다른 용어 찾기에 대한 전체 의견 방향은 ’발달’인 것 같습니다.

이외에 재활의 대체용어로서 교육, 개선, 호전, 복원, 교정, 교육, 특수교육 등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난 주말 오후 케이블방송에서 동물농장이라는 프로그램에서 말썽피우는 애견의 성질을 고치는 프로그램에서 (사람으로 치면 심리발달과정임) 모 전문대학 동물학과 교수를  ’
동물심리교정전문가’라고 자막으로 소개하더군요.


동물심리발달전문가’ 어떠세요?


청능재활’ 및 ‘청능치료’도 ‘청능발달’로 변경이 가능할 듯싶습니다.  

제 개인블로그의 명칭도 '김형재의 청능재활 블로그'가 아닌 '김형재의 청능발달 블로그'로 개명을 할 가능성도 있겠습니다.

 

수년 전 손석희 아나운서가 진행했던 100분 토론에서 의협회장과 간호학과 교수간의 의료행위 시 ‘진단’이라는 용어의 상용을 놓고 설전을 펼치던 기억이 납니다.
의협회장은 ‘진단’이라는 말은 의려행위이기에 함부로 사용하지 말라는 주장을 하였고, 논객으로 나왔던 간호학과 교수는 간호진단이라는 용어로 업무범위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주장을 펼친 바 있습니다.


대한민국 땅에서 명칭을 가지고 다툼(명분싸움)이 없는 진정으로 장애인(아동)의 복지를 위한 '재활'이 이루어지는 그 날을 기다려 봅니다.

이를 위해 청능사 자격 국가공인화 및 청능사법 입법화를 간절히 소망해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