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0월 27일 경남 거제시 장평동에 위치한 조선업체인 삼성중공업을 방문하였습니다.


삼성중공업내 생산지원관실에 위치한 선주회사인 이탈리아 ENI 그룹 SAIPEM(사이펨) 임직원의 방음보호구인 맞춤형 귀마개를 제작을 요청받고 출장을 간 것이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국가기간산업체로서 철저한 보안절차로 인하여 평소 쉽게 접근이 어려운 곳이었지만 ENI SAIPEM(사이펨)에서 실무 총 담당자이자 가장 바쁘신 한국인 직원 박은영씨의 도움으로 쉽게 출입을 할 수 있었습니다.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내 삼성호텔 정문>

 


깨끗하고 조용한 신식 건물의 호텔이 마주하고 있는 웅장한 조선소 크레인과 대조를 이루고 있어 인상적이었습니다. 




ENI 그룹의 정식 이름은 Ente Nazionale Idrocarburi(State Hydrocarbons Authority. 탄화수소공사)로서 이탈리아의 국영 에너지 기업으로 1953년에 설립되었으며 원유의 생산·운송·정유·소매 등을 완전히 통괄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ENI는 해외로부터의 구매를 통해 이탈리아 에너지 수요량의 거의 1/2을 공급하고 있다고 합니다.

 

귓본 채취 후 점심식사를 마치고 박은영씨에게 지금에 와서 난청 예방을 위한 귀마개 제작을 하는 이유를 물으니 삼성중공업이 ENI 그룹 SAIPEM(사이펨)의 수주를 받고 배를 제작하고 있는데 지금이 엔진이 조립되는 과정이고 엔진룸에 들어가서 평가를 해야 하는 데 엔진룸의 소음으로부터 청력을 보호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대한민국이 세계적으로 조선업 강국인데 발주회사에서 임직원분들의 산업재해 예방에 대해 각별한 배려에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전경>

조선소 특유의 웅장함을 느끼게하는 광경입니다. 크고 작은 주황색의 크레인이 보입니다.



 


<선주회사인 SAIPEM(사이펨)사 임직원이 근무하는 생산지원관실>




 
<귀마개 제작을 위해 귓본(impression)을 채취하는 장면 1>

 




 


 <귀마개 제작을 위해 귓본(impression)을 채취하는 장면 2>





 <SAIPEM(사이펨) 엔지니어께 일괄적으로 지급된 기성형 귀마개>

 

작업복에 뭔가 매달려 있어 자세히 보니 우레탄 폼(Polyuethane Foam) 으로 제작된 기성형 귀마개를 '귀마개 착용 좋아'라는 문구가 인쇄된 용기안에 담겨져 있습니다.  



 

 


<SAIPEM(사이펨) 엔지니어께 소음성 난청 예방법을 설명하고 있는 최동영 청능사>

  



 


<귀마개 제작을 위한 귓본(impression)을 채취 후 기념사진 1>




 


 <귀마개 제작을 위한 귓본(impression)을 채취 후 기념사
진 2>

2시간여의 작업과 짧은 점심식사 시간이었지만 대부분의 임직원분들과 친숙해질 수 있었는데 제가 보기엔 한국 엔지니어분들과 이탈리아 엔지니어분들이 서로 친구처럼 지내고 지원 스텝분들과도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근무하는 분위기 탓이 아닌가 싶습니다.


 


난청인의 한 사람으로서 건청인이 정말 부러울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건강은 건강할 때 지켜야 한다.’라는 말은 귀 건강에도 해당이 되는데 주위를 둘러보면 정말 소음 속에서 귀를 방치하는 경우를 너무 쉽게 접하게 되어 안타까움이 큽니다.


엘리베이터 내에서 음악이 흘러 나와 둘러보면 뒤에 교복을 입은 학생이 헤드폰으로 음악을 감상하는 소리가 흘러나오는 경우가 가장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 조선일보를 펼치면서 그다지 크지 않는 박스 기사임에도 눈에 번쩍 띄는 단어 ‘이어폰’, ‘난청’은 저의 시선을 끌기에 충분하였습니다.

<사진 : 조선일보 2010년 8월 19일자 기사>



간략히 내용을 정리하면 미국 10대 청소년이 이어폰으로 큰 음량의 음악 감상으로 난청이 19.5%에 달한다라는 것입니다.

(본 연구는 4년 전의 결과로서 현 싯점에서는 보다 높은 수치의 결과가 나오리라 예상됩니다.)

중 1인 제 아들도 학원 강의 대신 인터넷 강의(인강)를 접할 기회가 많아졌는데 처음에 헤드폰을 착용하고 공부 하길래 극구 말린 적이 있었습니다. 정말 요즈음 청소년들은 확실히 저의 세대에 비해 게임, 인터넷강의, 음악 등을 쉽게 접할 수 있어 그 만큼 난청에 노출이 쉬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청소년 스스로 이를 견제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PMP, 스마트폰, MP3, 게임기 등 생활 주변에 널려있는 각종 음향 전자기기의 활용시 부모님들의 주의 깊은 지도를 필요로 합니다.


오늘 조간신문의 기사를 보시고 좀 더 소음성 난청 예방에 관심을 기울여주셨으면 하는 바램에서 포스팅해 봅니다.

 





영국 버밍엄(Birmingham)은 지금으로부터 약 14년전에 업무상 출장을 다녀온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사진 자료 검색을 하다가 버밍엄 지도를 보는 순간 너무 반가웠습니다. ^^

그런데 지도를 자세하게 들여다보면 붉은색과 푸른색이 섞여있습니다.
이는 소위 말하는 소음지도(Noise Map)입니다. 즉, 각 지역별로 소음의 강도를 측정하여 소음의 강도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만든 지도입니다. 

국내 의료계에서는 지역별 암 발생 빈도와 같은 질병 지도는 보았는데, 소음지도는 처음 접합니다. 

버밍엄(Birmingham)이 공업지역이고 영국의 지자체가 소음성 난청 예방을 위한 소음관리를 하고자 만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이 점은 배워야한다고 생각이 됩니다.

그런데 오늘 국내 최대 우유 제조회사인 S우유의 보건관리자분께서 상담차 방문하셨는데, 재미있는 것은 이 분이 '산업전문간호사'라는 타이틀을 가지시면서 거의 '산업의(醫)'에 준하는 전공지식과 산업현장에서의 소음성난청 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하시고 계실 뿐만 아니라 우유생산 공정에 따른 소음지도(Noise Map)를 제작하여 직원들에게 경각심을 주어 효율적인 소음성난청 예방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습니다.

소리(소음)은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고 또 충분히 해가되는 소음에도 어느 정도 장기간 노출이되면 적응과 함께 소음성난청에 대한 경계심도 사라질 수 있어 산업현장에서의 공정별 소음지도(Noise Map)를 만드는 것은 참으로 좋은 아이디어로 생각이 됩니다.


※산업전문간호사 - 국내에서 유일하게 카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석사과정으로 개설되었다함.



 

 

김은선 2010/07/01 14:36

오늘 병원에 갔는데 왼쪽 귀가 난청이라고 하더라구요... 소음성 난청으로 보여지는데..

약으로는 시기가 늦고 자연적으로 회복될 경우가 많다고 해서 3주 뒤에 다시 보기로 했는데요.

3주 동안 저는 어떻게 해야 청능이 좋아질까요? 왼쪽 귀에 귀마개를 해야 하나요?

아니면 되도록 귀를 쉬게 소리를 듣는 것을 자제해야할까요?

난청은 영구적이라고 하는데 걱정되어 방명록에 질문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은선 선생님!


청능사(audiologist) 김형재입니다.


미국산업의학회에서 규정하는 소음성 난청(Noise Induced Hearing Loss, NIHL)은 내이기관인 달팽이관의 유모세포의 손상에 의한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회복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_-)



 


그리고 소음성 난청의 다른 특징은 소음노출이 중단되면 더 이상 진행은 안 되는 것으로 학회에서 보고하고 있어 청능재활을 위해 더 이상의 과도한 소음 노출은 피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미국청각학회에서는 다음과 같이 경고합니다.
Over 85dB for extended periods can cause permanemt hearing loss.


김은선 선생님의 질문내용상에서는 어느 정도의 소음에 얼마간 노출되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소음에 민감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예상이 되므로 향후 노래방이나 MP3 청취, 기계 소음 등을 원천척으로 피하시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소 희망적이지 못한 답변을 드려 죄송스럽습니다만, 항상 희망(긍정의 힘)을 가지시길 바라겠습니다. 다른 질병과 마찬가지로 소음성 난청도 개인적인 차원에서 예방 노력이 아주 중요합니다. 

빠른 쾌유를 빌겠습니다.



 

 

2010년 5월 서울의 모 대학병원에서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자기공명영상술)검사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오늘은 제가 MRI 검사를 받으면서 느낀 몇 가지 사항에 대해서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MRI 검사는 자장이 걸린 장비가 있는 방에 들어가서 약60cm되는 원형의 통 안에 누워서 검사를 받게 되는데 장비의 특성상 MRI장비는 소음이 심하게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MRI 검사 동의서'에 귀마개를 제공한다고 명시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피검자의 몸속에 자성체를 가진 물질이 있는지 확인을 하게 됩니다.

주로 틀니, 보청기, 가발, 머리핀, 금속파편 등을 확인하며, 실제로 탈의실에도 아래 사진과 같이 주의 안내문이 크게 부착되어 있었습니다. 



 

검사실에 들어가는 메인입구 옆에는 공항 출국시 흔히 접하는 금속탐지기가 걸려 있었습니다.


검사자의 안내를 받고 MRI 장비가 있는 검사실에 들어가서 누웠는데 검사자께서 삽입형 귀마개를 주고 이어 헤드폰형 귀마개를 씌워 주었습니다.


이때부터 약 20분간 검사가 이루어졌는데, MRI 스캐너 안에서 들리는 소음은 이중으로 귀마개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격장에서 격발하는 정도의 큰 소리가 들렸습니다.

소리의 종류도 뚜~~, 따따따~~ 등 대략 15~16가지로 다양한 소리가 들려 왔습니다.  


아쉬웠던 것은 필자의 경우 검사 전 보청기를 뺐는데 검사자께서 스피커를 통해 뭔가를 안내하고 있었습니다.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형 귀마개와 헤드폰형 귀마개를 이중으로 착용상태에서 무슨 이야기인지를 알 수가 없었습니다. 다만 눈치로 ‘움직이지 말라’이겠지 하고 정말 긴 시간을 긴장상태로 있었습니다.

 

나중에 조사 자료에 의하면 MRI의 소음은 105~112dB로 상당히 큰 소리였습니다.


이 정도의 소음 크기는 미국청각학회의 자료에 의하면 단 30분만으로 소음성 난청이 가능한 정도입니다. 

검사의 목적이나 신체 부위에 따라 MRI 검사는 1시간까지도 소요되기에 MRI 검사시에 소음 노출은 아주 조심스럽게 다루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외국의 MRI 사진을 검색하다보니 스캐너 옆에 헤드폰이 걸려있는 데 여기에 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헤드폰이 소음 차단 역할과 검사자와의 소통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보여 우리나라도 난청자 분들께서 보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 이러한 시스템이 시급히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난청자 분의 경우 검사 중간에 있을 안내방송의 내용을 미리 고지하시어 난청 환자가 검사 도중의 안내방송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함으로서 발생 가능한 검사 오류를 사전에 막고자하는 병원측의 세심한 배려가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컸습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축구 경기의 응원 도구로 사용되는 나팔 모양의 전통 악기 부부젤라(Vuvuzela)에 대해서 말들이 많습니다. 부부젤라(Vuvuzela)는 츠와나어로 레파타타라고도 불리는데. 길이는 1m 안팎으로, 120~130dB 전후의 큰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청각학회(www.audiology.org)의 소음 강도별 주의 사항에 의하면 30초 이상에서의 노출만으로도 위험할 수 있는 정도의 소음강도입니다. 이는 소음성 난청이 충분히 가능한 정도의 소음이기에 귀마개 등으로 예방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또 메인 주파수는 1~2kHz로서 인간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범위에서는 비교적 중심 주파수에 해당됩니다. 그런데 일본 언론에 보면 방송 청취 중 배경소음으로 들려오는 부부젤라(Vuvuzela)의 소리를 제거하기 위해 이퀄라이져를 통해 해당 주파수의 강도를 낮추는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아나운서의 목소리도 같이 감소되어 어음변별력이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부부젤라(Vuvuzela)의 소리가 배제된 방송 아나운서의 목소리만 듣는 방법은 유리 등으로 방음 처리된 독립된 방에서 중계를 하면 되지만 군중배경음이 없는 중계는 현장감이 없어 그 또한 문제가 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이어폰을 오래 끼면 청력이 나빠진다?

hb** 2010.03.03 23:39

이어폰을 끼고 소리를 크게 해서 나빠지는 건가요?

아니면 단순히 이어폰을 끼는 것 자체가 영향을 주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청능사(audiologist) 김형재입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의 답은 ‘큰 소리’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보충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소음성 난청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03년 2858명, 2004년 3309명, 2005년 3617명, 2006년 4006명, 2007년 4741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2007년 한해 진료를 받은 소음성 난청 환자 가운데
10∼30대가 45.8%나 돼 11.2%를 차지한 60대 이상 노인의 4배를 넘었습니다.

도대체 MP3에서 나오는 소리는 얼마나 될까요?

MP3의 이어폰에서 나오는 소리는 85∼90dB 수준이나 최대볼륨은 대부분 100㏈ 이상, 몇몇 기종은 최대 볼륨이 120dB까지 가능하다니 과히 놀라운 크기입니다.

 

 

아래 사진은 2009년 KBS 9시 뉴스 시간에 방송된 MP3에 의한 ‘소음성 난청’ 관련 보도입니다.

 



이론적인 배경에 의하면 90dB(데시벨) 이상의 소음에 8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소음성 난청(noise induced hearing loss, NIHS)이 생깁니다.


음악을 좋아하는 이들은 너무 크게 듣는 것과 너무 오래 듣는 것 모두 피해야 합니다. 이어폰을 꼭 사용해야 한다면 귓속형 이어폰보다는 머리에 거는 헤드폰을 사용하고 1시간 이상 이용은 삼가세요.자. 귓속형 이어폰은 헤드폰보다 7∼9㏈ 더 큰 소리를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실제 2007년 영국 청각장애연구소가 16∼34세 젊은 MP3 사용자 1000명을 조사한 결과, 3분의 1 이상이 이어폰을 벗어도 귀에서 소리가 멈추지 않는 소음성 난청 증상을 호소했다는 연구 보고서를 냈다. 이 연구소 비비앤 미셸 소장은 "요즘처럼 젊은이가 과도한 소음에 계속 노출되면 부모 세대보다 30년 일찍 심각한 난청을 겪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언젠가 한번 지하철 내에서 소음측정기로 소음의 강도를 측정한 적이 있었습니다. 이때 지하철 내부와 지하철 플랫폼에서의 강도는 상이하나 대개 85~95dB SPL이었습니다.
그럼 이러한 환경에서 음악이나 방송을 듣는다면 얼마의 소리의 크기가 필요할까요?

한림대학교 이경원 교수님의 연구논문
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MP3 등에서 사용하는 이어폰에서 생성되는 소리의 압력(음압레벨; sound pressure level, SPL)은 객관적으로 볼 때 그다지 높지는 않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어폰을 외이도(귓구멍)에 삽입했을 때는 고막과 이어폰 사이의 공간이 적어지기 때문에 90 dB SPL 이상의 높은 음압이 생성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바가 있었는데, 실제적으로
시끄러운 길거리나 지하철에서 충분한 음악 감상이나 방송을 듣고자 하신다면 소리의 압력은 훨씬 높을 것입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소음성 난청(noise induced hearing loss, NIHL)을 유발하기에 적격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어폰에 의한 음악(MP3) 청취는 가급적 조용한 장소에서 즐기시길 바랍니다.

[연관글]

MP3에 의한 소음성난청에 대한 KBS 김나나기자님의 보도를 보고



 


 

음악가 클라리넷(Clarinet) 연주로 소음성 난청을 유발할 수 있을까요?


최근 소음성 난청에 대한 기사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소음성 난청을 유발하는 소음은 사실상 우리 생활 도처에 깔려 있다고 보셔도 과언이 아닙니다.

문헌에 의하면 전형적인 클래식 연주가들의 소음 노출강도는 79-99dB A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Typical Noise Level

Classical musicians : 79-99dB A (Royster et al. 1991)

Rock Music (live) : 89-119dB A (Clark 1991)



그렇다면 대표적인 클래식 악기인 클라리넷(Clarinet)의 경우 어느 정도의 음량강도를 나타날까요?


제가 가장 좋아하는 곡 3곡을 연주해보았습니다.

기다리는 마음 (장일남 곡), 옛 시인의 노래 (이현섭 곡), 떠나가는 배 (정태춘 곡)


음량 측정은 아래 그림과 같이 소음측정기(Sound Level Meter, SLM)를 1.5m 높이에 설치하였습니다.

 



그 결과를 공지하겠습니다.

 



‘떠나 가는 배(정태춘 곡)’가 음량강도 89.2 dBA로 가장 높게 나왔습니다.


그리고 좁은 방음실(흡차음시설)에서 측정한 값은 기다리는 마음 (장일남 곡), 옛 시인의 노래 (이현섭 곡), 떠나가는 배 (정태춘 곡)에서 각각 88.9, 91.5, 92.7dBA로서 역시 ‘떠나 가는 배(정태춘 곡)’의 음량강도가 92.7dBA로 가장 높게 나왔습니다.


만약 좁은 실내에서 혼자서 연습을 하시게 되면 소음성 난청을 유발할 수 있는 음량 강도이므로 귀마개 등을 음악가용 귀마개 등으로 귀를 보호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또는 소음성난청 유발 가능 한계시간 내에서 충분한 휴식을 취해주시면 소음성 난청 예방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100dB A의 악기음량의 경우 하루 2시간 이내에 연습시간을 가져 주시길 바랍니다.

참고 : Damage risk criteria for HINL (출처 : 미국산업안전보건청, OSHA)

Sound Pressure Level(dBA)    Duration per Day (hr)

                 90                                     8

                 95                                     4

               100                                     2

               105                                     1

               110                                    1/2

               115                                    1/4 



소음성난청으로 크게 상처받은 분께서 제 블로그에 남기신 덧글을 읽고 포스팅해봅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젊었을 때부터... 큰 소리를 들으면 간간이 귀 안쪽에서 "아주아주" 약한 통증이 있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버스 뒷 좌석에 오래 앉아 있어도 그랬던 것이 기억납니다.
몇 년전 서울와서 심해졌을 때는 시내버스 카드체크기(타고내릴 때 버스카드 대는 곳)가 삑삑거리는 소리도 불쾌했습니다.

물론 이때 이비인후과에 갔지만 청력검사 결과는 정상이고... 신경과민이라고... ㅠㅠ

(중략)

최근 다른 사람 말소리가 불편했다.
노트북으로 간단한 검사를 하고서 나는 난청을 깨달았다.
2, 3일간 정신이 없다.
살아오면서 이런 절망감은 느끼지 못했다.
수천미터 절벽에서 떨어지는 느낌... 아직 바닥에 도달하지 못했다.
아... 이게 꿈이었으면...



김영규 선생님께서 저의 블로그에 남기신 덧글을 보고 선생님의 블로그를 방문하여 
선생님께서 난청으로 큰 고민과 상심에 빠진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리고 선생님의 블로그 <난청>카테고리에서 위의 선생님의 난청으로 인한 고민 글을 읽고서 제
생각을 드릴까 합니다.

우선 저는 선생님의 글을 보면서 좀 더 상세한 청력검사를 받으셨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PTA (pure tone average, 순음평균역치) vs. UCL (불쾌역치) 의 차이

이비인후과에서의 검사는 '삐~,뽀~,붕~'음을 들려 드리면서 선생님이 들리시면 버튼을 누르고 안들리면 가만히 있는 소위 순음(pure tone) 청력검사를 합니다. 
이 검사의 목적은 얼마나 작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가하는 것을 평가합니다. 
선생님께서 불편을 느끼시는 큰 소리에 대한 듣기능력을 평가하시려면 UCL(Uncomfortable Loudness, 불쾌역치) 를 검사하여야 합니다. 
불쾌역치를 검사하려면 청력검사장비가 어음검사(speech audiometry)가 가능해야하고 검사실이 two room이어야 정확하게 평가가 가능합니다. 

이비인후과에서 검사결과처럼 작은 소리를 잘 듣는 분들도 오히려 큰소리에서는 다른 사람들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여 불쾌감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대개 역동범위(dynamic rangr, DR)가 좁은 분이 그렇습니다. 

이런 분들께는 작은 소리, 대화음은 그대로 두고 큰소리를 압축(compression)해드리면 편안하게 들으실 수가 있습니다.


2. 어음청각검사(speech audiometry)에 의한 '말소리 불편' 규정

말소리는 복합음입니다. 
이비인후과에서 일반적으로하는 순음검사만으로서는 그 '불편'의 정도를 가늠할 수는 없습니다. 
선생님의 '불편'이 말소리 '감지'를 의미하는 것인지, 말소리 '변별'을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도 분명하게 규정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감지'와 '변별' 중 어느 것에 문제가 있더라도 '불편'한 것은 맞습니다만(즉,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기가 힘듬), 청능재활에 있어서 접근방법은 전혀 다릅니다. 

청각학계와 이과(耳科) 전문 이비인후과에서는 감지는 SRT(speech recognition threshold, 단위 dB)로서 변별은 WRS(word recognition score, 단위 %)로 평가를 합니다. 

제가 뵙기엔 김영규 선생님께서는 이러한 어음청각검사가 선행되셔야 정확한 난청의 정도와 유형을 정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마무리

선생님의 다른 포스트 '난청을 측정하는 간단한 프로그램'에 언급하신 아래의 내용을 가지고 좌절하신 것 같은데 인간이 생활에서 필요한 가청주파수는 20~8000Hz입니다.
그래서 전 세계적으로 보청기, 이비인후과 등에서는 8000Hz까지만 청력을 검사합니다.  
따라서 특정 회사의 가청주파수로서의 난청 판단 자료로서 너무 고민하실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원문보기


그리고 위의 자가 청력결과에 대한 제 의견을 드릴까 합니다.
 
선생님께서도 약간 언급은 하셨습니다만, 청력검사는 최소 30dBA 이하의 방음실에서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따라서 일반 생활환경에서의 검사결과는 실제보다 더 나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의 결과만으로 선생님께서 불편을 느끼시는 '어음명료도'에 대한 정도를 파악하기 힘드오니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어음검사를 해보시어 대응하시면 지금 하시는 고민이 크게 감소 되리라 생각합니다.

아뭏튼 선생님의 저의 블로그 방문으로 이렇게 제가 포스팅도 하게되어 비롯 가상공간이지만 큰 인연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소음성난청 구분
 A, C, C1, C2, D1, D2로 구분합니다.
 C, C1, C2 :  관찰 대상자 (건강상담과 보호구착용·추적검사·근로시간단축 등의 사후관리 필요)
 D1, D2 : 직업병 확진 의뢰 등의 조치

직업병인 D1 판정기준
1) 순음어음 청력검사상 4000Hz의 고음영역에서 50dB 이상 청력 손실 있을 것.
2) 3분법 (500(a) 1000(b) 2000(c)Hz에서의 청력손실치를 (a+b+c)/3)
     → 30dB 이상의 청력손실
3) 소음성난청 진단은 한 쪽 귀만 D1에 해당되더라도 직업병으로 판정.




+ Recent posts